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UNIST,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해수전지 상용화 박차
양 기관, 해수전지의 해양 활용 위한 공동연구 MOU 체결

[헤럴드경제=이경길(울산) 기자] UNIST(울산과기원, 총장 정무영)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해양자원 활용에 필요한 응용기술 개발에 함께 나선다.

UNIST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26일 UNIST 대학본부에서 공동연구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는 UNIST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해수(海水)전지’ 원천기술의 활용 분야를 해양으로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수전지는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자원인 바닷물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생산하는 친환경 에너지저장장치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리튬이온전지’보다 생산 가격이 절반 이상 저렴하며, 바닷물로 열 제어가 자체적으로 가능해 폭발의 위험이 적다.

양 기관은 물위에 띄우는 항로 표지인 ‘부표’ 및 해양 카메라의 전원, 해양 보트의 보조 전원 등 다양한 분야에 해수전지를 응용하기 위한 공동연구에 나선다. 특히, 해협의 표시나 암초 등 해상의 위험한 장소를 알려주는 부표는 야간 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점등해야 한다. 부표의 점등에 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는 침수 문제로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데 해수전지를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정무영 UNIST 총장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대한민국에 있어 해양은 무한한 가능성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라며 “해양과학기술을 선도하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의 협력을 통해 국민들의 삶과 국가 경제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UNIST는 미래창조과학부와 울산시의 지원을 받아 세계 최초로 해수전지 원천기술을 확보했고, 한국전력 및 동서발전과 해수전지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각각 진행 중이다. UNIST는 해수전지의 우수한 기술 역량과 차별성을 통해 해외시장을 공략하는 ‘수출형 연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hmd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