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ICBM 개발 성공 임박?…日 “미사일 최고고도 2000㎞ 이상”
-日 방위상 “北 미사일, 최고고도 2000여 ㎞ 이상 가능성”
-美 태평양사령부는 “美본토 사정권 ICBM 아냐”
-北 미사일, 고도 2000㎞ 넘은 적 없어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북한이 14일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고도 2000여 ㎞를 비행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일본 방위상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의 고도가 2000㎞를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며 “신형 미사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발사된 탄도미사일의 고도는 2000㎞에 달했고, 30분 정도 약 800㎞ 비행했으며, 북한 동쪽 해안으로부터 약 400㎞ 떨어진 일본해 위에 낙하한 것으로 추정된다”고도 덧붙였다. 북한 미사일의 최고고도가 2000㎞를 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이 평안북도 구성 일대에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으며, 700여 ㎞를 비행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고고도 및 미사일 제원 등에 대해 군 당국자는 “아직 한미가 정밀분석 중”이라고 했다.

북한 지난해 6월 성공적으로 발사한 무수단미사일의 최고고도는 약 1400㎞였다. 이날 미사일은 약 700여 ㎞를 비행했다. 정상각도에서 고도 2000㎞가 넘는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비행거리가 상당히 길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전문가들은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할때마다 발사각을 최대한 끌어올린 고각 발사를 하고 있다고 추정해왔다. 미사일은 최소한의 엔진 추력으로 최대한의 사거리를 내기 위해 보통 30∼45도의 각도로 발사된다. 이때, 탄도미사일의 사거리가 5500㎞를 넘으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으로 분류된다. 북한의ICBM 발사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북한은 지난달 15일 김일성 생일기념 열병식에서 러시아의 ‘토폴-M’과 유사한 신형 ICbm을 공개했다. 북한은 마찬가지로 과거 열병식에서 보유 ICBM으로 KN-08과 KN-14를 공개했지만 시험발사를 한 적은 없었다. 북한이 ICBM 시험발사에 성공한 것이면 미국 본토 타격 능력을 확보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미국 태평양사령부는 이날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에 대해 초기분석한 결과, 미국 본토를 사정권에 두는 ICBM은 아닌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