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남산공원 ‘때까치’ 올해도 번식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서울 남산공원에서 생태지표종인 소형맹금류 ‘때까치’가 작년에 이어 올해도 번식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중부공원녹지사업소는 8일 ‘남산의 새 시민모니터링단’이 남산에 있는 야생조류를 모니터링한 결과 먹이사슬의 상위포식자인 때까치의 산란 번식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때까치는 18~20㎝의 전형적인 산림성 소형맹금류로 개구리와 도마뱀 등의 양서파충류와 곤충류, 소형 조류를 종종 나뭇가지나 철조망에 꽂아 놓는 저장습성을 가지고 있다. 생태학자들은 주변 생태계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는데 때까치 생태 조사를 활용한다.

남산공원에 때까치가 번식한 것은 다양한 식생에 따른 곤충과 양서파충류 등 다양한 생물종이 안정적인 생태계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시는 야생조류교육센터 그린새(서정화 대표)와 작년 1월부터 ‘남산의 새 시민모니터링단’을 운영하고 있다. 시민모니터링단은 야생조류 총 27개과 61종의 야생조류를 관찰ㆍ기록하고 있다. 특히 도심에서는 최초로 멸종위기종 새매와 천연기념물 솔부엉이의 인공새집 번식도 확인한 바 있다.

올해는 남산공원의 소생물권서식지와 장충자락에 인공새집을 추가 설치, 총 70개의 인공새집을 관찰하고 있다. 남산공원에 설치하는 인공새집은 3㎝ 구멍의 박새류 용부터 6㎝, 9㎝의 대형 조류용도 포함해 다양한 개체의 번식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도심 숲에서 대형 인공새집을 설치해 모니터링하는 경우는 남산공원이 국내 처음이다.

야생조류 모니터링 지역과 회 차도 작년 보다 늘렸다. 시는 이를 통해 남산공원의 생물다양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생물종 보호와 서식지 보전을 위한 활동 기반도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