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氣UP; 기업이 미래다] “기업도 투자·고용늘리고, 유착고리 끊어라”
차기정부에 대외불안해소 주문

기업들은 ‘최순실 스캔들’이후 반기업정서가 확산되면서 투자위축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고, 정치권이 반기업 정서 확산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선후보들이 여야를 가리지 않고 재벌개혁을 외치고 있는 가운데 재벌개혁이 정경유착 근절에 도움이 되겠지만 투자냉각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우려도 표시했다. 아울러 4차산업혁명 본격 추진을 위해 차기정부가 규제개혁에 적극 나서야 하고, 이를 위해 규제개혁실을 대통령 지속으로 위상을 높여야 한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럴드경제가 현대경제연구원과 함께 2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현 경제상황 인식과 차기정부에 대한 제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기업 43%가 반기업정서 확산으로 투자위축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같은 반기업 정서 확산 해소를 위해 가장 앞장서야 할 계층으로는 정치권이란 답이 57%로 가장 많았고, 기업인(32%)이 뒤를 이었다. 정치권의 무분별한 기업때리기가 반기업정서 확산으로 나타나고 있고, 기업인 스스로도 사회적 책임과 자정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반기업 정서 해소를 위한 기업의 자정노력으로는 정경유착 근절(40%)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고, 투자와 고용확대(31%), 오너 일가 도덕성 회복(14%) 등을 언급했다.

진보보수 정권 관계없이 국내에서 기업활동 하기 어려운 점으로는 기업지배구조 규제(40%) 반기업정서(24%) 강경한 노조(23%)순으로 응답했다.

차기정부의 해야 할 첫번째 과제에 대한 설문에는 사드배치, 보호무역 등 대외 불안정 해소라는 답이 43%로 가장 많았다. 아울러 올바른 기업 지배구조 정착(22%), 각종 준조세 정비(11%)란 답도 적잖았다.

대선주자들이 대내외 악재 돌파와 함께 경제 전체가 재도약 할 수 있는 기회로 주목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제로 규제개혁이란 답이 51%를 차지했다. 또 실효성 있는 규제개혁을 위해 현재 국무총리실 소속인 규제개혁실을 대통령 직속으로 승격, 청와대가 직접 챙겨야 한다는 의견이 50%에 달했다.

최상현 기자/bons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