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안부 피해 우리 정부 없을 때”…안철수 ‘역사관’ 또 도마에
[헤럴드경제=이슈섹션]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의 위안부 관련 발언이 역사관 논란으로 번졌다.

안 후보는 13일 한국기자협회와 SBS가 주최한 19대 대선후보 합동토론회에서 “(한ㆍ일 위안부 피해자들은) 우리 정부가 존재하지 않을 때 피해를 받았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이제는 우리 정부가 있으니 그분들과 소통하고 의사를 반영해서 (한ㆍ일 위안부 합의를) 고쳐야 한다”고 덧붙였지만, 방송 직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우리 정부가 없을 때’라는 안 후보의 발언을 놓고 논쟁이 이어졌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안 후보의 이 표현은 임시정부를 부정하고 1948년 8월 15일을 대한민국 건국일로 보는 보수진영의 역사 인식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보수우파 진영은 1948년 8월15일이 단순한 정부 수립일이 아니라 영토ㆍ국민ㆍ주권이라는 3요소를 온전히 갖춘 진정한 의미의 국가 탄생일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진보좌파 진영에서는 1919년 임시정부가 수립될 때 이미 대한민국이 세워진 것이라는 주장한다.

김홍걸 더불어민주당 국민통합위원장은 14일 트위터에 “기본적인 역사관도 갖추지 못한 사람이 대통령을 하겠다니 욕심이 과한 것 아니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안 후보의 역사관 논란은 꾸준히 이어져 왔다. 안 후보는 지난 2013년 8월 15일 트위터에 “광복 68주년, 건국 65주년이다. 애국지사들의 헌신으로 만들어진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고 발전시키는 것은 후손들의 몫이며 정치의 책임이다”라고 적었다가 논란의 중심에 섰다.

2014년에는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합당 과정에서 통합 신당의 정강정책에 ‘6ㆍ15 남북공동선언’, ‘4ㆍ19 혁명’, ‘5ㆍ18 광주민주화운동’ 등을 삭제하자고 주장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안 후보 측은 당시 “민주당의 강령에 5ㆍ18, 4ㆍ19를 비롯한 여러 사건이 나열돼 있어 어떤 건 넣고 어떤 건 빼냐 이런 불필요한 논란이 있어서 넣지 말자는 게 기본 입장이다”고 해명했다.

또 지난해 1월에는 한상진 전 국민의당 공동창당준비위원장이 이승만 전 대통령을 국부로 평가하면서 “이승만 전 대통령 때 뿌려진 (자유민주주의의) 씨앗이 성장해서 4ㆍ19학생혁명으로 터졌다”고 말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