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철수 유치원’ 논란, 캠프 측 “병설형 단설 늘리겠다”
-단설 신설 자제→병설 6000학급 증설→병설형 단설
-학부모 반발에 2차례 입장 선회


[헤럴드경제=유은수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의 ‘단설 유치원 신설 자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안철수캠프에서 관련 정책을 제안한 조영달 서울대 사회교육과 교수는 13일 “병설형 단설을 늘리자는 것”이라고 입장을 선회했다.

조 교수는 이날 SBS 라디오 ‘박진호의 시사전망대’에 출연해 “(중소형 규모의 단설유치원은) 필요한 경우에 따라 언제든지 신설하고 확대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안 후보가 지난 11일 ‘사립유치원 유아교육자대회’에 참석해 “대형 단설유치원 신설을 자제하고, 사립유치원에 대해 독립 운영을 보장하겠다”고 말해 유아를 둔 학부모들의 분노를 샀다. 논란이 증폭되자 안 후보가 직접 “병설유치원 6000개 학급을 추가로 설치해 공립유치원 이용률을 40%로 확대하겠다”고 새로운 내용을 밝혔지만 단설유치원에 대한 학부모들의 선호가 커 반발이 사그라들지 않았다.

국공립유치원 가운데 병설유치원은 초등학교 안에서 1~3학급으로 운영되고 초등학교 교장이 원장을 겸직하는 시설을 말한다. 단설유치원은 단독 부지에서 별도의 건물을 사용하는 5학급 이상의 국공립유치원으로 시설과 교육환경이 우월해 학부모들이 선망하지만 전체 유치원 가운데 약 3%만 차지해 경쟁률이 높다.

조 교수는 이에 대해 “저희들이 제안한 것은 병설형 단설을 늘리자는 것”이라며 “유치원 공간은 초등학교에 병설돼있지만 유아교육을 전공한 원장, 원감을 별도로 두어 단설처럼 운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철수캠프 측에서 관련 논란을 두고 ‘병설형 단설’이라는 대안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어 그는 “안 후보가 방점을 둔 것은 대형의 문제를 지적한 것”이라며 “대형 단설유치원은 유아교육 과정을 운영할 때 세심한 배려를 하기도 너무 크고, 재난이나 안전에도 문제가 있어 매우 취약할 수 있다. 원생들의 통학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국공립 병설ㆍ단설유치원은 애초부터 소형ㆍ대형 학급 규모를 기준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중소형 단설유치원’은 생소한 개념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또 단설유치원이 재난 문제에 취약하다는 안 후보 측의 주장에 대해 이정욱 덕성여대 유아교육과 교수는 본지 통화에서 “어떤 근거로 그런 얘기를 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고 말했다.

ye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