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선 덮친 안보 딜레마…文ㆍ安 ‘우클릭’, 洪ㆍ劉 ‘본진 사수’
[헤럴드경제=유은수 기자] 5ㆍ9 장미대선의 변수도 역시 안보다. 미ㆍ중 정상회담, ‘한반도 4월 위기설’에 흔들리는 민심을 잡기 위해 대선 후보들이 딜레마에 처했다. 진보 진영의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말 바꾸기’ 비판에도 우클릭을 불사한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본진을 사수하며 상대 견제에 나섰다.

[그래픽디자인=이은경/pony713@heraldcorp.com]

▶文ㆍ安, ‘말 바꾸기’ 논란에도 ‘중도 포섭’=문 후보와 안 후보는 정당 간 가장 논쟁이 치열했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 관련 입장까지 ‘우향우’ 했다. 문 후보는 당초 사드에 대해 “차기 정부가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었지만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북한이 핵 도발을 계속하면 사드 배치가 불가피하다”, “사드 배치는 주권적 결정”이라는 입장까지 내놨다. 비판을 의식해 차기 정부 재검토 입장은 동일하다고 밝혔지만, 사드 배치에 있어 한발 전향적이 된 것이다. 문 후보는 또 4월 위기설로 인한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해 국회의장이 주재하는 대선 후보, 당 대표 참여 ‘5+5 긴급안보비상회의’도 제안했지만 사실상 심상정 정의당 후보 외 모든 후보가 거절했다. 안보관으로 공격 받던 위치에서 현안 주도권을 쥐고 중도 지지층을 포섭하려는 시도였으나, 다른 후보의 반발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

안 후보는 일찍이 사드 배치 반대인 당론에서 벗어나 외교 당국의 합의를 존중해야 한다고 선회했다. 사드의 효용성에 대한 의구심은 유지해 ‘반쪽 찬성’이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최근엔 당론을 설득하겠다고 한발 더 나갔다. 아울러 최근 발표한 10대 공약 가운데 ‘자강안보’를 첫 순서에 올려 보수성을 강화했다는 평가다. 안 후보는 튼튼한 자강안보를 통한 한반도 비핵화, 국방비를 단계적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3%로 상승하겠다고 했다. 다만 문 후보와의 차별화를 위해 4월 위기설 대응엔 신중론을 편다. 안 후보는 ”정치권은 국민들을 불안하게 해선 안 된다“며 안보회의 제안을 우회적으로 거절했다.

[그래픽디자인=이은경/pony713@heraldcorp.com]

▶洪ㆍ劉 ‘본진’ 넘어갈까…부글부글=홍 후보와 유 후보는 대선 구도의 두 강자의 ‘우클릭’을 불편한 심기로 보고 있다. ‘강한 안보’를 주장하며 보수 지지층 회복을 기대했는데 선명성 강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문 후보의 안보회의 제안에 보수 후보들이 유독 발끈한 이유다. 홍 후보는 “국민을 상대로 한 안보 정치쇼”라고, 유 후보는 “무슨 자격으로 회의를 소집하나, 오만하기 짝이 없다”고 꼬집었다. 안 후보의 사드 배치 선회에 대해서도 “실체는 다르다”며 당론과 차이를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대 후보의 안보 강화 기조에 대해 보수 후보로서 근본적으로 비판하기 힘들다는 애로가 있다. 이에 따라 홍 후보는 10년 진보 정권의 대북 정책을 꼬집으며 전술핵 재배치 등 ‘안보 프레임’을 띄웠다. 유 후보 측은 진보 진영의 ‘말 바꾸기’, ‘안보 장사’를 비판하며 “경제는 진보, 안보는 보수의 원조”를 강조하고 있다.

ye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