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軍, 4월 사드 배치 가시화?
-지난달 31일 군헬기로 지질조사 장비 성주골프장에 이송
-사드 부지,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로 이뤄져…결과에 따라 구체적 운용지침 결정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배치가 빠르면 이달 내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군 당국은 지난달 31일 군용 헬기를 이용해 지질조사 장비들을 경북 성주골프장으로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3일 정례브리핑에서 성주골프장에 군용헬기를 위해 지질장비를 반입한 것과 관련 “헬기로 실제 운송했다”고 밝혔다. 이후 사드 배치 일정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사진=게티이미지]

군 당국은 지난달 29일 대형 화물차를 이용해 기초지질조사 장비를 성주골프장에 반입하려다 사드 배치 반대를 주장하는 주민들에게 막히자 지난달 31일 군용 헬기를 이용해 장비를 반입했다. 당시 미군헬기 CH-47 치누크 5대가 투입돼 장비를 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 관계자는 “환경부 용역회사의 기초 지질조사 장비를 군용헬기에 실어 옮겼다”며 “미군에 제공할 부지공여 절차의 일환이며, 지질특성을 위해 반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국방부는 주민들의 반대로 다소 지연됐던 환경영향평가 작업을 서두를 것으로 보인다. 환경영향평가는 성주골프장에 들어올 사드 체계가 인체와 농작물을 포함한 주변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규명하는 절차로, 사드의 사격통제용 레이더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인체와 농작물에 악영향을 주는지 평가하게 된다.

사드 부지의 경우 33만㎡ 이하의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대상이기 때문에 장비가 투입된 만큼, 결과가 조기에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군 관계자는 “사드 부지에 대해서는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로 용역을 맡겼고, 최종적인 판단은 한미가 (부지 공여 단계에서)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드 배치 전후와 부지 공사 등 단계별로 나눠 객관적으로 환경영향평가를 함으로써 결과를 둘러싼 논란이 일지 않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환경영향평가 결과가 나오면 사드 레이더 주변 안전거리를 포함한 구체적인 운용 지침도 도출할 수 있다.

주한미군은 지난 3월 초 사드 장비인 발사대 2대를 오산 공군기지에 반입했다. 국방부는 당시 “사드의 한반도 전개가 시작됐다”며 사드 배치를 위하 준비기간이 길었던 만큼 사드 배치 절차가 중첩돼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