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핵ㆍ사드ㆍ 北 미사일…, 진보ㆍ보수 가를 ‘대선 변수’ 급부상
[헤럴드경제=김상수ㆍ박병국ㆍ유은수 기자] 이번 대선에도 어김없이 북한 변수가 급부상할 조짐이다. 사드 배치를 두고 한중 외교 관계가 냉각기에 돌입했고, 한미 관계에선 한반도 전술핵 배치가 오르내리고 있다. 북한이 미사일 도발까지 강행하면서 올해 대선에도 대북ㆍ외교 관계를 두고 후보 간 치열한 공방이 예고된다.

조기 대선 정국에서 연이어 대북 변수가 불거졌다. 김정남 피살 사건에 이어 사드 배치에 반발해 중국이 보복 조치를 감행했고, 이에 한반도 전술핵 배치도 한미 간 오르내리고 있다. 


6일에는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하면서 이날 대선 후보도 일제히 입장을 표명하는 등 대권 경쟁에서도 외교 문제가 급부상했다. 문재인 전 대표는 “한반도를 위기로 몰아넣는 도발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했고, 안희정 충남도지사도 “북한이 얻을 건 국제적 고립 뿐”이라고 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는 “유엔 결의를 위반했고 한반도에 긴장감을 유발한 데에 단호히 규탄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도 “북한이 끊임없이 핵 미사일을 도발하는 건 분명한 사실”이라고 성토했다.

북한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데엔 후보 간 이견이 없지만, 사드 배치 등 대책에선 입장이 갈린다. 민주당이나 국민의당 후보는 사드 배치에 반대하거나 차기 정부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 다수라면, 바른정당이나 새누리당 후보는 북 미사일 도발을 계기로 사드 배치 필요성을 강조하거나 전술핵배치를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제민주화나 재벌개혁 등 경제 분야에서 진보ㆍ보수 진영 간 큰 차이가 없었던 후보 간 대결 양상이 북한문제와 외교 안보에선 명확히 갈리고 있는 셈이다.

바른정당의 유 의원은 이날 “북한에 대한 최소한의 방어책은 사드 뿐”이라며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배치되는 게 마땅하다”고 했다. 한 발 더 나아가 “계약이 완료된 만큼 조기 대선이 있다면 대선 이전에 사드를 확실히 배치하는 게 마땅하다”며 조기 배치를 촉구했다.

바른정당 대선 후보인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한반도 전술핵 배치가 굉장히 시의적절한 결정이 될 수 있다”고 핵 배치를 찬성했다. 그는 “핵무장 준비를 위한 내부 검토로 공격ㆍ자주적 국방 정책을 논의해야 한다”며 핵무장을 거론했다.

사드 배치나 전술핵 배치 등은 안보 분야 뿐 아니라 한중ㆍ한미 외교ㆍ경제 관계로도 파장이 미친다. 최근 중국이 사드 배치에 반발, 무역 보복 조치 등을 강행하면서 차기 정부에서도 이 같은 외교 문제를 해결하는 게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북한 변수는 대선 때마다 빠짐없는 변수이지만, , 올해 대선은 외교ㆍ경제 문제까지 얽혀 한층 복잡해진 게 차이점이다. 지금까지 대선 정국에서 대북 변수는 대화 혹은 제재의 단순한 이분법적 선택지였다면, 이번 대선에선 전통적인 한미 관계과 새롭게 부각되는 한중 관계 중 한국이 어떤 방향을 잡고 가는지, 그 안에서 북한 문제를 어떻게 풀어낼지 등이 모두 맞물려 있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