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독 규모 큰 北 대사관…말레이시아 정부 의심 눈초리
[헤럴드경제=이슈섹션] 말레이사 정부가 북한 강철 대사에게 6일(현지시간) 오후 6시까지 추방 명령을 내렸다. 김정남 암살 사건 이후 양국의 관계가 극으로 치닫고 있다. 말레이시아 외교부는 전날 성명서를 통해 강 대사를 외교 기피 인물로 지정했다. 48시간 안에 말레이시아를 떠나라고 압박했다. 강 대사의 발언을 문제 삼은 것이다.

앞서 강 대사는 김정남 암살의 북한 배후 주장에 강력반발하면서 말레이시아 정부와 대한민국이 암살을 두고 공조하고 있다는 뉘앙스의 발언을 쏟아냈다. 또 강 대사는 김정남의 시신 부검에 대해 말레이시아 정부를 강하게 비판하며 시신 인도를 촉구했으며 기자회견을 통해 경찰 발표를 믿을 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북한 대사관과 정보당국 등이 김정남 암살을 계획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강 대사의 발언이 거짓으로 판명됐다.



아마드 자히드 하미디 말레이시아 부총리는 지난달 24일 “북한과의 외교관계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이달 2일 북한과의 비자면제 협정을 체결 8년만에 파기했다. 이어 강 대사의 추방 결정까지 이어지면서 말레이시아 측이 추가제재에 나설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특히 말레이시아 주재 북한 대사관이 유독 규모가 큰 이유도 이같은 분석에 힘을 싣고 있다.

말레이시아 주재 우리 교민은 3만명이 넘고 양국 교역규모가 20조원에 달하지만 현지 한국대사관 소속 외교관 수는 16명이다. 이에 비해 말레이 주재 북한 교민은 1000여명에 불과하고 양국 교역액은 연간 수십억원 수준인데도 외교관 수는 남한의 2배에 육박한다.

이런 수치를 비교하면 북한이 말레이시아에 외교관 28여명을 주재시키는 것은 정상적인 외교활동이라기보다는 무언가 다른 일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상당수는 외교관으로 위장한 공작원이나 외화벌이 일꾼일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