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정남이나 김정은이나” vs “조사 결과 지켜봐야”
-탈북인사들이 본 김정남 피살

[헤럴드경제=신대원ㆍ문재연 기자]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장남이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 암살 소식을 접한 탈북인사들도 충격에 휩싸인 모습이다.

이들은 한때나마 후계자로 거론됐던 김정남이 이국땅 말레이시아에서 잔혹한 최후를 맞은데 대해 놀라면서 다시 한번 북한체제의 잔혹성을 떠올렸다.

‘탈북 여성박사 1호’로 유명한 이애란 자유통일문화원장은 16일 “김정은은 역시 살인마”라며 치를 떨었다.

[사진=헤럴드경제DB]

이 원장은 “다만 탈북민들 입장에서는 김정남이나 김정은이나 똑같은 김 씨 일가”라면서 “김정남 사망 자체에 대해서는 안타깝다거나 그런 생각은 없다”고 손사래를 쳤다.

대북전단 살포를 주도해 온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는 “김정남을 죽이고 싶어하는 것은 김정은 한 사람밖에 없다”며 “북한 체제 자체가 그런 극단적인 방법이 아니면 유지되지 않는다”고 했다.

박 대표는 “일반 주민들까지는 모르겠지만 평양에 사는 간부들 사이에서는 공공연히 대놓고 하지는 못하더라도 김정남이 진짜 ‘백두혈통’이고 김정은은 ‘후지산 혈통’이라는 얘기도 도는데 김정은이 두고 보기 어려웠을 것”이라면서 “그래도 김정일과 달리 가족까지 죽이는 걸 보면 김정은은 도저히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가 없다”고 했다.

김정일이 숙부 김영주와 이복동생 김평일 등을 권력핵심부에서 밀어내긴 했지만 목숨까지 위협하지는 않았는데 김정은은 도를 넘어섰다는 것이다.

반면 말레이시아 당국의 부검과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조명철 전 새누리당 의원은 “지금 김정남 사망과 관련해 중국 연루설까지 나오고 이런저런 얘기들이 있는데 느낌상 신뢰하기도 어렵지만 모르는 게 너무 많아 가타부타할 얘기가 없다”면서 “말레이시아 당국이 적어도 부검과 조사 결과를 공식발표할 때까지는 좀 지켜봐야할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조 전 의원은 특히 “중요한 것은 팩트 그 자체”라며 “북한문제의 경우 분위기에 휩쓸려 가는 경우가 많은데 대한민국 입장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병욱 북한개발연구소장 역시 “아직 정확한 것은 김정남이 죽었다 이것 하나밖에 없지 않느냐”면서 “차분하게 지켜보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 소장은 “장소가 사람이 많이 모이고 보안이 엄격한 공항인데다, 김정남이 장성택처럼 북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람도 아니고, 가뜩이나 탄도미사일 문제로 압박받고 있는 상황에서 암살이라는 부담스런 선택을 했는지 의문”이라며 “현재로선 답을 찾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