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어지러운 한국은 싫다…작년 해외여행 지출 사상 최대
[헤럴드경제] ‘어지러운 한국은 싫다(?)’

소득 증가율이 급감하고 경기 불황이 심화되고 있지만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의 해외여행 소비는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지러운 한국을 떠나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고 있다는 의미다.


4일 문화관광부와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작년 일반 해외여행 지출액은 모두 231억2000만 달러로 2015년(215억3000만 달러)보다 7.4% 늘었다.

이 증가율은 지난해 국내총생산(한은 2.7% 예상)이나 민간소비(2.8%) 증가율의 세 배 이상의 수준이다.

국제수지 통계에서 일반여행 지급액은 유학ㆍ연수 등의 목적이 아닌 여행ㆍ출장목적으로 외국에 체류하면서 숙식ㆍ물건 구매 등에 지출한 돈을 말한다.

최근 연도별 일반여행 지급액은 ▷ 2011년 155억3000만 달러 ▷ 2012년 164억9000만 달러 ▷ 2013년 173억4000만 달러 ▷ 2014년 194억7000만 달러 ▷ 2015년 215억3000만 달러 ▷ 2016년 231억2000만 달러 등으로 해마다 사상 최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이처럼 한국인의 해외여행 지출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것은 여름 휴가나 명절 연휴 등을 이용해 나라 밖으로 떠나는 일이 보편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관광연구원 관광지식정보시스템를 보면, 지난해 내국인 출국자 수는연인원 2238만3190명으로 2015년(1931만430명)보다 11.6% 늘었다.

불황이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국민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다양한 해외여행 상품이 만들어지면서 해외여행객이 늘어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지난해 외국인이 한국에 머물면서 지출한 ’일반여행 수입‘ 또한 170억9000만 달러로 전년의 150억9000만 달러보다 13.3% 늘었다.

2015년 ’메르스(중동 호흡기 증후군)‘ 사태로 주춤했던 유커(중국인 관광객) 등의 행렬이 다시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여행 수입은 사상 최대 기록인 2014년의 177억1000만 달러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일반여행 수입은 2011년 123억5000만 달러, 2012년 133억6000만 달러, 2013년 145억2000만 달러를 거쳐 2014년 177억 달러까지 급증했지만 2015년 메르스 여파로 뒷걸음질했다.

이처럼 지난해 일반여행 수입 증가율이 지급액 증가율보다 높았기 때문에, 일반여행 수지 적자 규모(60억4000만 달러)도 2015년(64억4000만 달러)보다 다소 줄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