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짝퉁에서도 역시 샤넬인가?
[헤럴드경제] 프랑스 명품 브랜드 ‘샤넬(Chanel)’이 서울 도심에서 팔리는 짝퉁 상품 가운데 가장 인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서울 중구에 따르면 지난해 내·외국인 방문객이 몰리는 주요 도심 관광지에서 짝퉁 단속 결과 압수물량 5만3207점 가운데 샤넬이 1만4079점으로 가장 많은 26.5%를 차지했다.

샤넬에 이어 루이뷔통이 8343점으로 15.7%를 차지해 두 번째로 많았다. 버버리 2808점(5.3%), 구찌 2294점(4.3%), 아디다스 2142점(4%) 등도 ‘짝퉁’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몽클레어 2018점(3.8%), 톰브라운 1378점(2.6%), 데상트 1356점(2.4%), 티파니 1261점(2.4%), 토리버치 1220점(2.3%) 등이 뒤따랐다.

중구는 지난해 주간 37회, 야간 110회 등 총 147차례 짝퉁 단속을 벌여 517건을 단속해 5만3207점을 압수했다. 정품으로 따지면 무려 460억 3700만원에 이르는 양이다. 이는 전년도인 2015년보다 단속 건수로는 8.8%, 압수물량으로는 57%, 정품 시가로는 123%나 늘어난 것이다.

특히 일곱차례 창고 압수수색도 벌여 짝퉁 1만728점, 정품 시가 125억7000만원어치를 압수했다.


지난해 짝퉁 상품이 가장 많이 적발된 곳은 DDP와 동대문 패션 상가가 몰려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동대문관광특구로, 전체 517건 가운데 80%에 달하는 414건이 적발됐다.

이어 남대문시장이 74건이 적발돼 14%를 차지했고, ‘관광 1번지’ 명동은 25건으로 5%로 나타났다.

중구는 “지난해 명동 적발 건수는 월 4건 이하로 짝퉁 판매가 거의 근절돼 극소수노점과 매장에서만 비밀리에 팔리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남대문시장은 노점 실명제 이후 짝퉁 판매처가 감소하는 추세로, 일부 수입·아동복 상가에서 눈을 피해 은밀히 팔고 있다”고 분석했다.

장소별로는 노점이 절반을 넘는 263건(51%)였고, 상가가 238건(46%)였다. 그 밖에 차량이 9건(2%), 창고가 7건(1%)로 집계됐다.

적발된 짝퉁 상품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귀걸이, 목걸이, 반지, 팔찌, 머리핀 같은 액세서리가 2만 857점으로 가장 많은 39.2%를 차지했다. 티셔츠·바지·재킷 등 의류는 1만 8297점으로 34.4%로 나타났다.

이어 가방 2791점(5.2%), 지갑 2661점(5%), 신발 1626점(3.1%), 벨트 1428점(2.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