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고학생부군신위, 이렇게 쓰세요
[헤럴드경제]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 등 지방 쓰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지방(紙榜)’은 차례상의 주인을 뜻하는 것으로 신주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드는 위패다.

보통 사진으로 대체하지만 사진이 없을 경우 지방을 써놓고 차례상 위에 올려놓는다.

지방은 가로 6~7cm, 세로 22cm의 백지에 쓰면 된다.

부모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는 단독으로 지내니 지방도 한 분만 쓴다.

부모가 모두 돌아가셨다면,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쓴다.

제사를 모시는 이와 고인과의 관계, 직위, 이름, 신위 순으로 작성한다.

고인과의 관계를 작성할 때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며 앞에 ‘현(顯)’을 붙인다. 


일반적으로 부친의 경우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로 적고, 모친(김해 김씨)은 ‘현비유인김해김씨신위(顯孺人金海金氏神位)’라고 적는다.

설날 지방쓰는 법은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고인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 등 4가지로 나뉠 수 있다.

현고학생부군신위라는 아버지 제사 지방쓰는 법을 살펴보면, 아버지는 ‘고’ 어머니는 ‘비’ 조부는 ‘조고’ 조모는 ‘조비’ 증조부는 ‘증조고’ 증조모는 ‘증조비’라 하여 앞에 현을 붙이게 된다.

남편은 ‘현벽’으로 써주면 되는 반면 아내는 현을 붙이지 않고 ‘망실’ 혹은 ‘고실’이라고 쓴다. 형은 ‘현영’ 형수는 ‘현영수’ 동생은 ‘망제’ 자식은 ‘망자’라고 써주면 된다.

한편 고인의 이름을 쓸 경우 남자 조상은 모두 ‘부군’이라고 쓰고 여자 조상은 본관과 성씨를 쓰게 되며 자식이나 동생은 이름을 쓰면 된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