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폭스콘도 백기…“美에 70억弗 투자…5만개 일자리 창출”
애플 아이폰을 조립하는 세계 최대의 전자제품 조립회사인 대만 폭스콘(홍하이정밀공업)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압력에 손을 들었다. 궈타이밍(郭台銘) 폭스콘 회장은 미국에 70억달러(약 8조2300억원)를 투자해 디스플레이 제조공장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닛케이아시안리뷰, 포천 등 외신 따르면 궈 회장은 이날 타이베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송년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새 공장을 통해 미국에 3만~5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새 제조공장이 애플과 조인트벤처(JV) 방식으로 설립될 것”이라며 “애플 역시 패널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꺼이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애플은 이에 대해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궈 회장은 갈수록 증가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 수요를 맞추기 위해서는 현지 생산이 중국에서 미국 시장까지 배송하는 것보다 더 나은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투자 조건과 미 연방정부 및 주 정부들과의 세부 협의가 남아있다며 자세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궈 회장은 “아직은 계획 단계이고 약속까지는 아니다. 바람이 그렇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성사된다면 현재 협력업체들이 있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가 유력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궈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 의지를 보임에 따라 지난해 인수한 캐나다 소재 디스플레이 기술 관련 스타트업 ‘스마트 테크놀로지’의 공장을 미국으로 이전시키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폭스콘 새 공장 운영 시 토지, 전기 사용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해달라고 미 정부에 촉구했다.

일본 아사히신문도 “미국의 고용 증가에 집착한 트럼프 대통령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며 “조립 공장까지 포함하면 미국 내에서 약 3만 ~ 5만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전했다.

대선 승리가 확정된 이후부터 이달 22일까지 제너럴모터스(GM), 도요타, 월마트, 소프트뱅크 등 글로벌 기업들이 약속한 미국 투자액을 합산하면 무려 726억달러(약 85조4000억원)에 달한다. 지금까지 공개된 투자액 가운데 가장 거액은 일본 IT 기업 소프트뱅크가 약속한 500억달러다.

김현경 기자/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