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트럼프, 짙어지는 ‘反中본색’…“‘하나의 중국’도 협상 대상”
대만 총통과 전화로 中과 마찰시작
무역·통화문제 지적하며 압박 지속
美언론 “외교·경제 갈등 신호탄 쏴”
中은 “협상 대상 아니다” 원천봉쇄

미국의 신(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G2(미·중)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하나의 중국’ 원칙도 협상 대상이라고 도발하자, 중국이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하게 반발하며 맞섰다. 글로벌 ‘빅2’의 갈등이 현실화되면서 세계 정세도 불안한 기류가 감돌고 있다.

15일(이하 현지시간)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측이 트럼프 당선인의 “‘하나의 중국’ 정책도 협상 대상”이라는 강경 발언에 대해 공식적으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면서 양 측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는 지난 13일 WSJ과의 인터뷰에서 “하나의 중국 정책을 포함한 모든 것을 ‘협상중(under negotiation’)”이라며 “미국이 대만을 외교적으로 인정하지 않기로 동의한 정책(하나의 중국)은 이제 공중에 올라섰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에 가장 민감한 부분을 트럼프가 거듭 자극한 것으로, 미ㆍ중간 40여년 지속돼 온 외교의 원칙을 깰 수 있다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트럼프는 지난달 초 1979년 이후 미중간 외교 원칙(하나의 중국)을 깨고,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과 전화 통화를 하면서 중국과의 관계에서 마찰을 빚었다.

트럼프는 그러면서 “무역 관행과 통화 문제와 같은 이슈에서 진전을 보이지 않으면, 우리는 하나의 중국 정책에 전념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중국을 압박했다. WSJ 등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의 발언이 향후 중국과의 외교는 물론 경제, 무역 등 전방위적으로 빚어질 갈등의 신호탄이라고 해석했다. 미 CBS는 “트럼프가 중국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대만과의 관계, 나아가 미중 관계를 흔들 수 있다는 표시”라고 덧붙였다. 지난 11월 선거 승리 이후 트럼프 측이 대만을 중국과 미국 간 교섭 카드로 활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취임 전부터 현실화된 셈이다.

트럼프의 도발에 중국도 즉각 “협상 대상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중국 외교부는 13일 성명을 통해 “하나의 중국 정책은 협상이 불가하다”며 “대만은 불가분한 중국의 일부분일 뿐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정부임은 국제적으로 공인된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 정책은 미중 관계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협상의 대상이 아니다”고 밝히며, ”중국과 미국 간 발전에 혼란을 막기 위해 대만 문제에 대한 민감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신중하게 접근해달라”고 덧붙였다.

루 대변인은 그러면서 “미국의 ‘관련 당사자들이’ 이를 제대로 인지해야 한다”며 “우리는 미국의 관련 당사자들에 대만 문제의 높은 민감성을 인지하고 이전 미국 정부들이 하나의 중국 정책에 대해 했던 약속과 (중ㆍ미간) 3개 공동코뮈니케를 따를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 직전 불거진 이번 갈등은 그동안 트럼프의 ‘중국 때리기’가 선거용이라는 관측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향후 미중 관계에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예고한다.

트럼프가 지명한 외교 안보 인사들의 반중(反中) 색채가 매우 강한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 내정자는 지난 12일 인사청문회에서 “중국처럼 새로운 힘의 국가와 협상할 때는 힘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내정자는 “중국의 남중국해 인공섬 접근을 막을 것”이라고 했다.

중국과는 멀어지는 반면 트럼프의 ‘친(親)러 기조’는 본격화되고 있다. 트럼프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미 대선 개입과 관련해 러시아에 부과한 제재는 ‘최소한 당분간’ 유지하겠다고 밝히면서도, 러시아가 테러와의 전쟁이나 미국의 주요 목표 달성에 유용한 존재임이 입증되면 제재를 해제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트럼프는 “만약 러시아가 실제로 우리를 돕게 된다면 우리에게 좋은 일을 하려는 누군가를 왜 제재해야만 하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우리와) 만나고 싶어하는 것을 이해한다. 이는 나에게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조민선 기자/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