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분양 조절하고 깡통전세 최소화 한다지만…실효성‘의문’
부동산 전문가 진단


정부가 29일 밝힌 ‘2017년 경제정책 방향’ 중 주택 분야 정책은 주택시장에서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미분양 아파트와 ‘깡통전세’의 파급력을 최소화하려는 의지가 엿보인다. 큰 틀에선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내놓은 ‘11ㆍ3 부동산 대책’의 기조를 잇는 것이지만, 실효성엔 의문을 제기하는 전문가가 적지 않다. 실수요자의 입장을 고려한 세부적인 내용을 보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실장은 “건설사의 밀어내기 분양에 따른 공급과잉 논란에 앞서 정부가 부동산 과열과 미분양을 키우는 부작용을 초래했다고 볼 수 있다”며 “내년 주택시장 침체가 불보듯 뻔한 상황에서 단기적인 정책은 되레 남은 불씨마저 꺼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토부는 이번 경제정책방향에서 미분양과 인허가 물량 등을 고려해 초과공급이 우려되는 ‘미분양 관리지역’에 대해 택지매입 전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예비심사를 진행하고, 심사를 받지 않으면 보증발급을 제한한다고 강조했다. 후분양 대출보증과 후분양 주택자금 대출 등 지원방안 확대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대출 규제는 연말 주택시장을 움츠리게 한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총체적 상환능력심사(DSR)와 원금 상환에 대한 부담감이 소비자의 지갑을 닫게 만들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기획재정부와 국토부의 소통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권대중 대한부동산학회장은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이 주택시장 위축의 주요한 요인이지만, 가계부채와 관련된 대책은 기획재정부의 몫”이라며 “국토부의 정책방향은 급락하는 시장을 잡기보다 장기적으로 투명한 시장을 만드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11월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5만7582가구로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주택 인허가 물량은 6만4833가구로 소폭 증가했다. 문제는 내년 하반기 이후 예정된 입주물량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내년 7월부터 2018년 2월까지 3만8899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정치 리스크와 국내외의 불확실성이 산재한 부동산 시장에서 국토부의 정책이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여전히 물음표가 남는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경제정책방향은 11ㆍ3 부동산 대책의 연속성과 시장에 대한 추가적인 경고 시그널로 해석할 수 있다”며 “새로울 것은 없지만, 투자수요를 막고 미분양분을 실수요자에게 돌리겠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찬수 기자/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