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연례행사된 AI, 근본 예방책 고민해야
AI가 전국을 순식간에 뒤덮었다. 확산 속도 사상 최고에 피해도 가장 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달 16일 시작된 이번 H5N6형 고병원성 AI로 닭,오리 810만마리가 이미 살처분됐다. 추가로 156만 마리 가량 희생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달도 안돼 1000만 마리가 처분되지만 이마저도 지금 상황일 뿐이다. 앞으로의 피해는 예측 불가능이다. 최대 피해를 냈던 지난 2014년 100여 일에 걸쳐 1400만 마리가 살처분된 점을 고려하면 올해 AI 사태가 사상 최대 피해가 되리란 건 예측이 아니라 당연한 결과라는 얘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국정 상황과 고병원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에 따른 농가 피해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11일부터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한다고 밝혔지만 의심신고 후 한 달이 다된 시점에서 뒤늦은 감이 없지 않다.

탄핵정국에 매몰돼 초동대처부터 ‘뒷북 행정’으로 일관했다는 비난이 끊이질 않는다. 실제로 AI 발생 초기부터 곳곳의 부실 대응이 지적됐다. AI가 발생한 경기도에서 경북 영주 봉화로 종란이 배달되기도 했고 지난주 말 이틀 동안 경북도 내의 가금류 관련 이동차량 70여대중 허가를 받은 것은 27대뿐이다. 나머지 40여대는 무허가 운행일 정도로 이동제한조치는 말뿐이었다.

AI로 인한 피해는 단지 사육 농가에 국한되지 않는다. 산란계 도살로 공급이 급감하면서 국민 식품인 계란값은 지난해에 비해 80%나 폭등했다. 반면 양계 농가들이 앞다퉈 닭 처분에 나서면서 생닭 값은 이달들어 불과 열흘만에 반토막 났다.

지난 2003년 우리나라에 처음 알려진 이후 최근 몇 년간 AI 사태는 연례행사가 됐다. 이젠 전국민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의 일종이다. 하지만 그 때마다 주먹구구식 대응에 그쳤다. 진화된 대비책이 없다. 방역 매뉴얼의 철저한 준수는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발생 후 사후조치일 뿐이다. 예방적 조치의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철새만 탓하고 앉아있을 수만은 없다. 근본원인의 해소책을 고민해야만 한다.

AI 진단과 처방에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 줄이는 것은 물론 AI 조기 경보를 위해 철새 이동 경로에 있는 아시아국가들과 연구하고 협력하는 감시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사육 환경이 면역력과 항균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적용하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한다. 상대적으로 넓고 쾌적한 공간에서 닭을 키우는 충북의 동물복지농장들은 감염 피해를 입지않았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