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특검수사 스타트] ‘직무유기 의혹’ 김기춘… ‘김영한 비망록’ 증거력이 관건
[헤럴드경제=김현일 기자] ‘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진 직후 김기춘(77)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곧바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최순실(60ㆍ구속기소) 씨의 국정농단 정황이 잇달아 드러나면서 박근혜 대통령을 가장 근거리에서 보좌한 김 전 실장에게 책임론이 옮겨 붙었다.

김 전 실장은 최 씨의 국정농단을 알고도 방치했다는 의혹과 더불어 최 씨 일가를 비호해왔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김 전 실장에 대해 특별히 범죄혐의가 발견된 바 없다”면서도 관련 의혹을 계속 확인해왔다. 그러나 결국 김 전 실장을 직접 조사하지 못한 채 공을 특검으로 넘기게 됐다.

김기춘 전 대통령비서실장 임명식 당일 [사진=헤럴드경제DB]


박영수(64) 특별검사는 김 전 실장과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해 “일반인과 똑같이 소환해 조사하고 또 다른 증거 자료를 수집해서 사실관계를 특정한 다음에 범죄가 된다 하면 법대로 하겠다”고 밝혀 이들이 특검의 수사대상 임을 확실히 밝혔다.

박정희 대통령 때부터 2대에 걸쳐 연을 이어오고 있는 김 전 실장은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의 자문그룹 ‘7인회’ 멤버로 활동하며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박 대통령이 최 씨와 40여년간 관계를 유지해온 점을 고려할 때 김 전 실장이 최태민-최순실 일가의 움직임을 몰랐을 리 없다는 의견이 나온다.

김기춘 전 대통령비서실장의 지시사항을 기록한 비망록으로 재조명되고 있는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생전 모습(오른쪽에서 세번째) [사진=헤럴드경제DB]


반면 김 전 실장은 줄곧 “최순실을 만난 적도 없고, 통화한 적도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전날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에서도 김 전 실장은 여전히 “최순실을 전혀 모른다”며 선을 그었다. 그러나 2007년 7월 19일 한나라당 대선 경선후보 검증 청문회 당시 최순실 씨의 이름이 수차례 언급되는 자리에 김 전 실장이 있었던 동영상이 공개되자 김 전 실장은 “최순실이란 이름을 못 들었다고 할 순 없다”며 최 씨의 존재를 이미 알고 있었음을 뒤늦게 시인했다.

김 전 실장은 ‘모르쇠’ 전략으로 자신에게 제기된 직무유기 혐의를 피해가려 했지만 이를 반박하는 증거가 잇달아 나오고 있다. 특히 세월호 참사 당일 박 대통령 관저에 미용사가 출입한 사실을 김 전 실장이 이미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해당 미용사는 대통령비서실의 지휘를 받는 총무비서관실 소속 계약직 미용사로 알려졌다. 당시 계약서에 따르면 임명자는 김 전 실장으로 돼 있다. 이에 대해서도 김 전 실장은 “잘 모른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향후 특검 수사에서는 김영한 전 민정수석이 김 전 실장의 지시사항을 기록한 비망록도 중요 역할을 할 것으로 법조계는 예상한다. 비망록에는 김 전 실장이 전교조와 언론 탄압,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등 사법부에 영향력 행사 등을 암시하는 내용이 들어있다. 김 전 실장은 이를 예상하기라도 한 듯 청문회에서 “작성한 사람의 주관적 생각도 가미돼 있을 것”이라며 줄곧 비망록의 증거능력을 부정하는 발언을 쏟아냈다. 때문에 추후 수사와 재판에서 비망록의 증거능력을 두고 김 전 실장과 특검 간의 치열한 다툼이 예상되고 있다.

joz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