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2인 영세업 탈피 덩치 키워야”…‘골목 탈출’못하면 죽는다
“중대형화·전문화·선진화 갖춰야”


변호사의 진출, 부동산 인터넷 직거래 플랫폼 등장 등 업황 변화가 몰려오면서 골목 상권 위주인 부동산 중개업도 변신을 요구받고 있다.

선진화ㆍ시스템화를 이루고, 서비스 품질 강화에 나서야한다는 지적이 안팎에서 나온다. 임대관리, 생활밀착형서비스와의 융복합이 미래를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다. 이를 위해선 1~2인 고용 위주인 영세업을 탈피해 덩치를 키우는 것이 선결과제다.

이현석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중개업은 업역을 확대하거나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고, 인터넷서비스와의 연결, 법인화를 통해 몸집을 불리고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고민을 해야하는 단계에 와 있다”고 했다.

중개업의 위상을 선진국과 비교해 보면 변신이 시급해 보인다.

2일 국토연구원 토지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한국의 자문 및 중개업 매출액은 5조3000억원(2013년 기준)으로 임대, 개발공급, 감정평가를 포함한 전체 부동산산업의 10.6%를 차지한다.

반면 한국시장을 노크하는 미국의 자문 및 중개업 매출은 77조6000억원(전체 부동산 산업 내 비중 19.6%)이며, 이웃 일본은 35조7000억원(12.1%), 영국은 15조3000억원(18%)로 우리의 3~15배에 달한다.

그런데 사업체수로 보면 다르다. 2013년 기준 한국은 7만9079개이며, 전체 산업의 66.6%를 차지한다.

미국은 8만6377개(29.5%), 일본은 5만709개(13.9%), 영국은 1만5909개(21%)다. 한국이 영국과 일본 보다 사업체는 많고, 매출액은 훨씬 적다. 일본의 경우 프랜차이즈형 대형 중개회사가 부동산개발, 주택임대관리까지 겸한다.

우리는 아직 그런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김찬호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원은 “1~2인 가구, 월세의 증가와 함께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뤄지면, 관리대상이 늘어나므로 주택임대관리업도 어느 정도 시장을 이룰 것”며 “다만 중개업이 주택임대관리까지 하려면 전국에 기반을 갖출 규모는 돼야 하므로 진출에 한계가 있다”고 했다.

소상공인 위주인 현재로선 시대변화 흐름에 맞춰 이사, 등기, 세무, 인테리어, 컨설팅 등 생활밀착형과 연계한 서비스 융복합이 먼저 가능하다. 그럴려면 거래의 투명성이 우선해야한다. 거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전자계약은 아직 성과가 미흡하다.

태블릿PC, 스마트폰으로 계약하는 전자계약은 지난 4월말 서울시 서초구의 시범서비스를 시작으로 지난 8월 30일 부터 서울 전역으로 확대됐다.

하지만 이를 사용하는 중개사는 1400명 정도로 아직 인기가 없다. 전체 2만여 곳인 서울 중개소의 7% 가량만 사용 중이다. 국토교통부는 내년 상반기 이를 경기도와 7대 광역시, 내년 하반기부터 전국으로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