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건설·부동산시장 영향] “부동산자산가, 포트폴리오 변화 불가피”
전문가들 긍정-부정론 교차속
“장기적으론 악재” 한목소리
경제위축시 상가·오피스등 타격




뜻밖의 변수가 생겼다. ‘트럼프 쇼크’다.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됨으로써 건설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에 시선이 집중된다.

부동산 재벌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9일 차기 미국 대통령 당선되는 대이변의 결과에 정부도 촉각을 곤두세우는 등 분주했다.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긴급현안점검회의를 열고 “미 대선 결과에 따라 주택시장, 해외건설, 자동차, 항공수요 등 다양한 현안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철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자리에는 2차관, 국토도시실장, 주택토지실장, 교통물류실장, 항공정책실장, 건설정책국장 등 국토부 주요 간부가 참석했다. 그만큼 불확실성에 대한 위기감을 감안한 것이다.
‘트럼프 쇼크’로 한국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안전자산인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긍정과 부정의 평가가 공존하지만, 장기적으론 악재라는 시각이 강해 부동산 시장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사진은 분양현장 모습.

국토부는 논의 결과와 관련해 “주택시장은 경제 불확실성 증대 등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시장 모니터링을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고 했다. 또 “해외건설은 저유가ㆍ이란 경제제재 가능성 등 부정적 요인이 커질 수 있지만 미국 내 인프라 투자 확대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정리했다.

정부 행보와는 별개로, 미 대선 결과가 주택 등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선 긍ㆍ부정 전망이 엇갈린다. 하지만 보호무역주의, FTA 재협상, 고율 관세 등 앞으로 한국경제가 처할 악조건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는 악재라는 데 의견이 모아진다.

이남수 신한금융투자 부동산팀장은 “증시의 변동성이 커져서 앞으로 투자자들이 주식 비중을 줄이려 들 것”이라며 “늘어나는 단기성 자금은 안전자산, 그 중에서도 리스크가 그나마 적은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될 것”이라고 단기 호재를 예상했다. 이 팀장은 “당장 자산가들이 즉각적으로 움직인다기 보다 앞으로 포트폴리오에 변화를 줄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빌딩이나 오피스 등 소리없이 오른 수익형 부문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미국 금리인상 변수가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12월 미국 금리인상 확률은 50%로 급락했지만, 미국 경제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 미 금리인상은 시기 문제일 뿐이란 인식이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저금리 유동성의 변수는 변화가 없다. 금리 한가지 문제가 아니라 단기 가격 급등과 11ㆍ3 부동산 대책이 겹쳐 나타난 현재의 관망세가 연말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만일 외국인 자금이 급속 이탈하고, 수출과 무역 조건이 악화해 한국 경제가 격랑에 휩쓸릴 경우 비교적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부동산도 예외없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박천규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센터장은 “경제 자체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으며, 주택시장도 소득이 중요한 요인이므로 위축될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박 센터장은 “울산 등 지역경제 상황이 민감하게 주택시장에 작용하는 지역들에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주택시장이 몇년간 확장국면이었지만 이제 둔화 국면이 몇년간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합수 위원은 경제침체 변수에 대해 “이미 (부동산 시장에) 상당부분 반영돼 있다”면서 “예컨대 울산은 조선업과 자동차산업 등 지역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주택 시장도 공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가격 하향이 이어지고 있다”며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초단기 영향은 없고, 단기적으로는 경제 악화 영향으로 오피스와 상가 등 수익률이 하락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미 상가와 오피스의 수익률은 하락하고 있는데, 경제 악화로 생산이 감축하면 추가 하락할 것이란 얘기다. 심 교수는 “길게 보면 주택 경기도 안좋아질 수 있다”며 “경제 부양을 위해 만일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하하면 경제불안이 확대하고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는 심화할 것”이라고 했다. 

한지숙ㆍ박준규 기자/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