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트럼프 승리] 트럼프發 ‘경제 위기론’에 촛불민심 흔들릴까…與野 촉각
[헤럴드경제=김상수ㆍ유은수 기자] 촛불정국에 ‘트럼프 변수’가 터졌다. 여야 모두 민감하게 움직이지만, 해석과 대책을 두곤 온도 차가 크다. 여권은 ‘위기론’을, 야권은 ‘신중론’을 앞세웠다.

여야 모두 9일 미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이 확정된 이후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예상을 빗나간 미 대선 결과로 정국이 급박하게 돌아갔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미 대선 결과로 경제와 안보 상황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국가ㆍ국민이 어려움에 처할수록 여야는 정쟁을 중단하고 힘을 합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정 수습에 야권이 동참해야 한다는 압박이 담겼다. 
[사진=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이 대표 사퇴를 요구하는 비박계 역시 ‘트럼프 변수’를 계기로 야권으로도 공세를 펼쳤다. 김세연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문자 메시지를 통해 “빠른 시간 안에 정국이 안정을 꾀할 수 있도록 야당은 자신들의 요구를 들어줄 때마다 거부하는 편협하고 정략적인 행동을 멈추고 진정한 협치의 정신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했다.

야권은 ‘트럼프 변수’가 자칫 촛불민심을 위축시킬 계기가 될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 대선 결과가 한국에 미칠 영향을 부인하진 않지만, 이를 지나치게 확대 해석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나 오는 12일 대규모 촛불집회를 목전에 두고 ‘트럼프 변수’가 터진 것도 야권으로선 그리 달갑지 않다. 야권은 이날 오는 주말 촛불집회에 당 차원으로 참석하는 데에 합의했다. 
[사진=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이런 배경까지 더해 야권은 다소 복잡한 속내가 읽힌다. 크게 보면 2가지 흐름이 읽힌다. 대외 불확실성이 커졌으니 오히려 박 대통령이 빨리 국정운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주장과, ‘트럼프 변수’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경제ㆍ안보 위기론’으로 확대, 정국을 빠르게 수습해야 한다는 논리로 흘러선 안 된다는 주장이다. 어떤 입장이더라도 ‘박근혜ㆍ최순실 게이트’에 악영향을 끼쳐선 안 된다는 데엔 공감대가 있다.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미국 새 정부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국정공백 상황이 조속히 수습돼야 한다”고 했고, 박원순 서울시장은 “박 대통령이 조속히 퇴진하는 길만이 국정공백과 외교공백을 최소화하고 혼란 장기화를 막는 길”이라고 했다. 이들 모두 ‘트럼프 변수’를 기점으로 박 대통령이 조속히 물러나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다.

반면, 문재인 민주당 전 대표는 “미국의 어느 분이 대통령이 되시더라도 한미동맹관계와 북핵의 완전 폐기를 위한 한미 간 공조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고,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은 “미국이 기본적으로 가치가 있기 때문에 공화당 정부라고 해서 지나치게 우경화되지 않는다. 온도 차가 있겠지만, 일본처럼 급변하는 건 없다”고 강조했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