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정위 “국내 지주회사 162개, 1년새 22개 증가…대기업은 오히려 감소”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 공정거래법의 규제를 받는 지주회사가 지난 1년간 22개 늘어나 올 9월말 현재 162개에 달했다. 증가규모는 1999년 제도 도입 이후 가장 큰 폭이다. 하지만 대기업집단 소속 지주회사는 오히려 10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공정거래위원회는 ‘2016년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현황분석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기준 국내 지주회사는 162개로 1년 전보다 22개 증가했다. 이러한 증가 규모는 1999년 4월 지주회사 제도가 도입된 이후 가장 큰 것이다.

하지만 대기업집단 소속 지주회사는 1년 전보다 10개가 줄어 20개에 머물렀다.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 대기업집단 수도 15개에서 8개로 감소했다. 지난 6월 대기업집단 지정 기준이 자산규모 5조원에서 10조원으로 상향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로써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지주회사로 전환한 대기업집단은 SK, LG, GS, 농협, 한진, CJ, 부영, LS 등 8개로 줄게 됐다.

대기업집단은 전체 429개 계열사 중 319개(74%)를 지주회사 체제 안에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나머지 110개 계열사는 총수일가 등이 지주회사 체제 밖에서 지배하고 있었으며 이중 28개는 공정거래법상 총수일가 사익편취 규제 대상이었다.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지 않은 대기업집단 21개 중 14개는 금융사를 보유하고 있거나 순환출자를 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주회사 전환 대기업집단은 수평ㆍ방사ㆍ순환형 출자가 거의 없어 총수 일가가 지배하는 다른 대기업집단과 달리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투명한 출자구조로 분석된다. 지주회사 전환 대기업집단의 총수일가 평균 지분율은 48.6%(총수 지분율은 35.2%)였다.

일반 지주회사 중 동일인(총수)이 자연인인 회사는 총 123개로 이들의 총수일가 지분율은 평균 56.4%(총수는 38.7%)에 달했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