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AT&T, 타임워너 인수…글로벌 방통융합 대세, 우리 기업은?
[헤럴드경제=이혜미 기자] 미국의 2위 이동통신사업자 AT&T가 미디어ㆍ엔터테인먼트 기업 타임워너를 인수하면서, 성장절벽에 직면한 통신기업의 혁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AT&T 뿐 아니라 미국 최대 규모의 이통사업자인 버라이즌도 올해 인터넷포털 야후를 48억 달러에 인수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미디어 기업으로 거듭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에서 일어나는 이 같은 합종연횡 흐름이 국내 방송ㆍ통신업계의 지각변동에도 영향을 미치리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디어ㆍ엔터테인먼트 기업 타임워너를 854억 달러에 인수한 미국 2위 통신사업자 AT&T [사진=게티이미지]

22일(현지시각) 미국 외신들은 AT&T가 타임워너를 854억 달러(약 97조 원)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등 규제 당국의 허가 과정을 거친 뒤, 내년 말 인수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11년 미국 케이블TV 1위 컴캐스트와 미디어ㆍ엔터테인먼트기업 NBC유니버설의 인수ㆍ합병(M&A) 이후 최대 규모다.

국내에서는 최근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ㆍ합병이 무산된 바 있어, 글로벌 방송ㆍ통신ㆍ미디어 융합의 흐름에 뒤처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국내 1위 이동통신업체인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 M&A를 추진했으나, 지난 7월 공정거래위원회의 불허 결정에 부딪히면서 무산됐다. 시장 경쟁 제한성(독과점)이 우려된다는 이유에서였다. 이에 성장 정체에 빠진 케이블TV가 회생하는 동시에 이통사업자도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할 활로가 막혔다는 지적이 나왔다. 날로 주도권 다툼이 치열해지는 글로벌 방송ㆍ통신시장에서 국내 사업자 스스로 경쟁력을 높일 기회를 정부가 막았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사진=SK텔레콤 사옥 전경]

네트워크 시장의 포화 상태로 새 먹거리 확보가 절실한 이동통신사들 입장에서는 미디어ㆍ엔터테인먼트 영역 등으로 영토 확장이 당연한 수순이라는 지적이다. LG유플러스도 통합방송법(방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케이블TV 업체 인수를 적극적으로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통합방송법은 유료방송 규제 기준을 ‘권역(지역) 점유율’이 아닌 ‘전체 점유율’로 전환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따라서 이 법이 통과되면 권역 점유율에 발이 묶인 케이블TV 사업자들이, 통신사업자에 인수될 기회를 다시 노릴 수 있다. CJ헬로비전 인수가 좌절된 SK텔레콤도 M&A 가능성은 열어두고, 미디어 플랫폼 강화 전략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방송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방송ㆍ통신ㆍ미디어 융합은 세계적으로 거스를수 없는 흐름”이라며 “이번 미국 AT&T의 타임워너 인수를 계기로 통합방송법 국회 통과에도 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연내 통합방송법이 통과되면 내년부터 굵직한 인수ㆍ합병 건이 연이어 터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통합방송법 제정에 있어 내년에 있을 대선이 변수가 되리라는 관측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정치권이 대선 준비에 돌입한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법 개정 논의는 대선 이후로 미뤄지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ha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