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갤노트7 발화 원인 조사 17일 착수…원인 규명 최소 3개월
[헤럴드경제=최상현 ㆍ권도경 기자]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이 17일부터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의 발화 사고에 대한 원인 규명에 본격 착수했다.

하지만 리콜 이후 교환된 갤럭시노트 7의 발화지점과 내ㆍ외부 요인 등이 다양해 발화 원인을 밝히는 데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또 국내에서 발화된 기기만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조사여서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전자업계에 따르면 이날부터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과 안전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분석과 검증을 시작한 국표원은 지난 8월말 국내에서 발화한 사고 원인에 대한 분석 자료를 토대로 학계, 산업계, 시험인증기관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 규모를 7명에서 10명으로 늘렸다. 


전문가 자문위원회는 삼성전자 측 조사결과를 1차적으로 분석한 후 안전검증시험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에 의뢰할 예정이다. KTL에서는 국내에서 발화가 보도된 갤럭시노트7 시료폰 4~5대를 대상으로 ▷비파괴검사 ▷CT(컴퓨터단층) 촬영 ▷파괴 검사 ▷고열 주입 검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AP)상 문제 ▷스마트폰 내 회로도 검사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각각 첨단 기법을 동원한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는 갤럭시노트7의 발화 원인을 배터리 설계 결함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각도로 보겠다는 목적으로 해석된다. 삼성도 자체적으로 결함 원인을 밝히는 데 총력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기본적인 조사 결과가 나오는 데 국표원은 최소 3개월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발화 원인 규명을 제대로 밝히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실제로 국표원 일각에서는 이번 사고의 원인이 ‘영구 미제’로 남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 리콜 이전인 지난 8월 말에 발화된 갤럭시노트7에 비해 리콜 이후 문제를 일으킨 갤럭시노트7에서는 발화 지점이 여러 군데로 잡히는 데다 발화의 원인도 복합적일 수 있어 물리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다. 또 갤럭시노트7이 기본적으로 여러나라에서 제품안전기본법에 따른 안전성 검사를 통과한 제품(OPMC:One Product Multi Certificated)이라는 점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한 발화 원인을 찾는 작업이 적잖은 난관에 부딪히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해외에서 발화 사고가 발생한 기기들을 확보하는 것도 문제다. 국내에서 발화된 갤럭시노트7은 대부분 삼성전자와 관련기관에 전달됐지만, 사고건 수가 많은 미국의 경우 대부분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 등 미국 규제 당국이 가지고 있다. CPSC가 이들 기기와 원인분석결과를 삼성전자나 국내 당국에 넘겨줄지 여부는 현재로서는 불투명하다. CPSC는 지난 13일 공식 리콜을 발표했지만 발화 원인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조사 결과를 밝히지 않았다. 


CPSC는 리콜 명령을 가진 연방기구지만 조사분석기관은 아니다. 설사 CPSC가 조사원인을 규명한다고 해도 삼성전자에 해당폰과 함께 넘겨줄지 여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국표원 관계자는 “미국 규제 당국의 발화 원인에 대한 조사는 일단락된 것으로 보고 있어 (미국측과) 별도의 공조 계획은 없다“며 “일단은 국내에서 발화된 기기를 대상으로 원인 규명에 나선다”고 말했다.

국표원 안팎에서는 “불량품의 수가 극히 적어 발화의 원인을 명쾌히 밝히는 데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자칫 ‘영구 미제’로 남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최상현 ㆍ권도경 기자/ k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