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파트 월별 거래량 금융위기 이후 최다…이사철 부는 ‘부동산 광풍’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서울의 아파트 값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월별 거래량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다. 주거시설의 경매 낙찰가율도 과거 정점을 찍었던 2007~2008년을 넘어섰다.

정부의 8ㆍ25 가계부채 대책이 수요자를 자극했고, 재개발ㆍ재건축 등 정비사업이 집값을 끌어올려 ‘더 오른다’는 기대심리를 부추겼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연내 도입되는 총체적상환능력심사시스템(DSRㆍDebt Service Ratio)에 따라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강남 등 일부 지역의 비정상적인 열기는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파트도 빌라도…서울 거래량 급증=최근 감소세를 보였던 서울의 아파트 거래는 10월 들어 증가세로 돌아섰다. 신고 기간이 계약 이후 60일까지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달 말 거래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아파트 거래량이 다시 상승세다. 주거시설 경매 낙찰가율은 역대 최고치다. 천장 뚫린 집값에 ‘더 오른다’는 기대심리가 비정상적인 열기를 빚고 있다. 전문가들은 내년 이후 입주폭탄과 외부충격으로 부동산 시장이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 사진은 목동의 한 아파트 전경. [사진=이상섭 기자/babtong@heraldcorp.com]

1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달 1만1056건이었다. 7월 1만4140건에서 소폭 감소한 수치지만, 지난해(8989건)보다 22% 늘어난 규모다. 동월만 놓고 보면 2006년 9월 1만3474건 이래 최대 거래량이다.

단정하긴 이르지만 10월 거래량도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13일 현재 10월 아파트 거래량은 11일 기준 4433건으로 하루평균 403건이 거래됐다. 하루평균 거래 건수는 지난달(368건)보다 9.4%, 지난해 같은 기간(372건)보다 8.3% 늘어났다. 이달 신고된 건수와 지난달 기록을 합하면 숫자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분양권 거래도 역대 최고였다. 서울정보광장 자료를 보면 9월 분양권 거래량은 756건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1271건에서 꾸준히 하락했지만 9월로는 최고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519건)보다 45.7% 증가했고, 종전 최고치를 기록했던 2009년 9월(613건)보다도 27.3% 늘었다.

강태욱 우리은행 부동산 자문위원은 “강남을 시작으로 집값이 오르면서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 모두 명분이 생겼다”면서 “중장기적으로는 호재가 없다는 점은 분명하지만, 정부가 마땅히 내놓을 규제 카드도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경매시장도 북적…주택 낙찰가율 ‘역대 최고’=더 낮은 가격에 주택을 사려는 이들로 경매시장은 연일 북적인다. 법원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9월 전국 주거시설 낙찰가율은 전월 대비 2.7%포인트 상승한 90.1%를 기록하며 지난 2001년 1월 경매통계 작성 이후 최고 낙찰가율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 낙찰가율이 같은 기간 6.4%포인트 감소한 66.5%라는 점을 고려하면 주택에 기대심리가 더 많이 반영됐다고 풀이할 수 있다.

낙찰액도 증가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4.5명으로 지난달과 비슷했지만, 9월 총 낙찰액은 1조1244억원으로 329억원 늘었다. 물건당 평균 낙찰액은 2억8591만원으로 8월 2억5635만원보다 약 3000만원 증가했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주거시설 평균 낙찰가율이 90%를 돌파하면서 사실상 2007~2008년 경매 광풍 시기에 기록했던 거의 모든 기록이 갱신됐다”며 “최근 가계부채와 관련된 규제 시그널과 후속 대책 전망이 나오는 상황에서 낙찰가율에 조정이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내달리는 수요자…”내년 이후가 걱정“=심리로 움직이는 부동산시장의 특성상 중장기적인 계획보다 눈앞의 이익을 좇을 수밖에 없는 심리가 거래를 부추긴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대한부동산학회장)는 “강남 등 일부 지역의 집값 급등과 거래량 증가가 수도권 전반에 심리적인 압박으로 작용했다”면서 “집값이 계속 오를 것이라는 착각에서 비롯된 결과지만, 내년 이후 100만 가구를 웃도는 입주 이후엔 충격파가 커질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연내 총체적상환능력심사시스템 도입으로 거래량은 주춤할 것으로 전망된다. 권 교수는 “일종의 사재기에 제동을 걸 수 있겠지만, 분양시장을 비롯해 기존 재고시장까지 전체 시장이 얼어붙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강력한 수요 억제책보다 청약제도 개선 등 전방위적인 대책을 내놔야 주택시장의 연착륙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계절적 비수기인 연말을 지나 내년 이후 외부요인과 맞물려 거래량과 집값에 제동이 걸릴 것이란 목소리도 크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실장은 “DSR 제도를 시장에서 이미 인지했다는 점과 적용되는 도입이 예상되는 시기가 비수기라는 것을 고려하면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며 “내년 대선 등 정치적 요인과 미국발 금리 인상 등 악재의 영향이 더 클 전망”이라고 밝혔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