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 “사드 중단하면 김정은이 가장 기뻐할 것” 野 “정부여당 전쟁위기 몰아가는 자극적 발언 우려”
[헤럴드경제=이형석ㆍ박병국ㆍ유은수 기자]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등 북한의 추가 도발이 우려됐던 10일 오전에도 여야는 안보를 두고서도 설전을 벌였다. 여당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절차 중단 주장에 대해 맹공을 퍼부었다. 북 도발 위협과 안보를 앞세워 야당의 백남기 농민 부검 반대 입장 및 일부 시민단체의 시위에 대해서도 거세게 비난했다. 경찰의 물대포에 물을 공급하지 않겠다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발언도 거듭 문제삼았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야당은 북한 도발 위협을 일제히 비판하고 국제사회에 대한 북측의 태도 변화를 요구했지만 의제와 어조는 달랐다. 야당은 불법조업 중이던 중국 어선의 충돌 공격에 의해 해경 고속정이 침몰한 데 대한 공권력의 대처를 질타했다. 대북 정책에 대해서는 평화ㆍ외교적 해법을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부와 여당을 향해 핵무장론 등 북한을 자극하는 감정적 발언이 전쟁위기로 몰아간다고 비판했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가 10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3차 태풍 피해 대책 당정협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당정협의회는 울산-부산 등 피해지역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포함한 전반적 대책을 논의한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 지난 몇 년간 야당의 행태를 보면 국정감사장에서의 허위폭로 거짓 주장에 대해 절대로 신뢰를 못하겠다”며 “중국 유커(여행객)들이 가장 많이 여행한 나라는 한국이다, 사드 배치하면 한중관계가 파탄난다는 야당의 주장이 새빨간 거짓말로 드러났다”고 했다. 특히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사드배치 절차 중단과 국회 비준을 요구한 문 전 대표의 발언을 두고 “명색이 대선주자라는 분의 안보인식이 이 정도밖에 되지 않는가 실망스럽다”며 “문재인 전 대표 주장대로 사드배치 절차를 중단하게 된다면 그것을 가장 기뻐하는 세력 누구겠느냐, 김정은 정권일 것”이라고 했다.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우상호 원내대표가 발언을 하고 있다.
안훈 기자 rosedale@heraldcorp.com

추미애 더민주 대표는 이날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중국 어선에 의한 해경 고속정 침몰 사건을 거론하며 “영해 침범 문제만이 아니라 어민의 자산을 강탈하고 생업을 위헙하는 범죄 행위이자 국민의 안보 불안을 초래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라고 했다. 또 “해경의 고속단정이 침몰한 것은 주권국가로 국격과 공권력의 심각한 훼손”이라며 “문제는 사고 사실을 은폐하려 했다는 것”이라고 했다. 추 대표는 “국민을 속이는 정부” “국민 안전보다 윗분 심기 걱정하는 국민안전처” “무슨 사건만 터지면 은폐하는 게 습관 된 정부” “국민들에게 물대포 쏘아대고 중국어선에는 해경이 두들겨 맞는 현실”이라고 정부 대처를 강력 비난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전해철 더민주 의원은 “북한은 어떤 도발도 중지해야 한다”면서도 “‘남한으로 오라’(는 대통령의 발언), 핵 무장론 등 전쟁위기로 몰아가는 정부와 여당의 감정적ㆍ자극적 발언이 심각하다는 우려를 전한다, 한반도 긴장 완화와 평화 보장을 위해 6ㆍ15, 10ㆍ4 합의 정신을 구현하고 대화의 끈 놓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우리는 북한 김정은에게 강력히 촉구한다, 어떤 핵실험도 미사일 발사도 우리에게는 불필요하고 미덕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이에는 이, 눈에는 눈’ 이런 상호보복이 가기 전에 북한이 국제사회의 요구를 수용해야 한다”고 했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