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대, 현대시조 개척자 ‘이병기 기념실’ 오픈
일제강점기 한글 운동을 벌인 독립운동가이자 현대시조 개척자인 가람(嘉藍) 이병기(1891∼1968·사진) 선생을 기리는 강의실이 서울대에 생긴다.

서울대 인문대학은 한글날과 서울대 개교 70주년 기념일을 맞아 이달 12일 인문대학 14동 105호에 ‘가람 이병기 기념실’을 연다고 6일 밝혔다.

인문대학 관계자는 ”대학에 선배 학자와 학문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사라져 아쉽다“며 ”한평생 한글과 국문학, 우리 역사를 위해 살다 가신 가람 선생을 기리는 기념실을 만들기로 했다“고 말했다.


기부자나 기업 이름을 딴 학교 강의실이나 건물은 많지만, 선배 학자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딴 강의실을 만드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서울대 측은 전했다. 인문대학은 이 기념실을 강의실로 활용하는 것은 물론 학생들이 편하게 쉬고 책도 볼 수 있는 공간으로 꾸밀 예정이다. 벽 한편에는 가람 선생이 지은 시조 ‘별’, 서울대 교가, 가람 선생의 약력이 쓰인 아크릴판을 붙인다는 계획이다.

이병기 선생은 일제강점기 국문학 연구의 기틀을 세운 학자로 쇠퇴일로인 시조를 부흥시키고 시인, 교육자, 한글운동가로도 활동했다.

조선 문학을 강의하고 한글학회 등에서 활동하며 우리나라 첫 국어사전 편찬에도 관여했다.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해방 이후에는 1946년부터 4년간 서울대에서 교편을 잡았고, 전북대 등에서도 후학을 양성했다.

이 선생은 일본 강점기에 갖은 고초를 겪으며 수집한 국어국문학 및 국사에 관한 문헌 3천600여권을 서울대 중앙도서관에 기증했다. 이 문헌들은 ‘가람문고’로 보존돼 지금도 학계에서 한글 연구의 가장 큰 자산으로 평가된다. 

조범자 기자/anju101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