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철도승차권 ‘예약부도’ 손실 3500억
김성태의원 5년간 집계

반환 수수료 지나치게 낮아

국내 철도 승차권 예매 고객의 ‘노쇼’(no-showㆍ예약 부도)로 인한 손실액이 5년간 3500억원에 이른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나치게 낮은 반환수수료가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성태(새누리당) 의원은 한국철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철도승차권 ‘노쇼’로 인한 추정 손실액이 3500억원에 달하며, 공사의 반환수수료 수익도 5년간 687억원 동반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5년간 매해 총 철도승차권 발매수는 1억2000~1억4000장에 이른다. 이중 탑승 전후 반환되는 티켓은 해마다 늘어 2011년 1558만장에서 2012년 2047만장, 2013년 2682만장, 2014년 2970만장, 2015년 3260만장을 기록했다. ‘노쇼’로 인해 판매기회를 잃은 티켓은 매해 400만~450만장이었으며, 손실액은 연간 615억~804억원에 이르렀다. ‘노쇼’의 손실액은 평시 비율 3.3%(2016년 1월 기준)를 일괄적용해 추정했다.

김 의원은 “인터넷 예약의 경우 출발 1시간 전에만 취소하면 400원의 반환수수료만 지불되는 것이 주요 원인”이라며 “반환수수료를 현실화해 명절 등 꼭 필요할때 표를 구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는 열차이용객의 안타까움을 씻어주어야 한다”고 했다. 또 “‘노쇼’의 반환수수료 현실화 전제는 수수료 수익 전액을 철도 공익서비스(PSO)의 재원으로 활용하는 결단을 통해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형석 기자/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