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G화학, “배터리로 미래 변화 선보일 것”…인터배터리 전시회 참가
소형ㆍ자동차ㆍ에너지저장장치(ESS) 등 3개 섹션별 차세대 배터리 기술 및 제품 전시


[헤럴드경제=배두헌 기자] LG화학이 5일부터 7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16’에 참가해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첨단 배터리들을 선보인다고 5일 밝혔다.

‘인터배터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전지산업협회와 코엑스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 2차전지산업 전시회로, 올해 행사에는 국내외 약 140여개 업체가 참가한다.

LG화학은 참가업체 중 최대 규모(270㎡)의 부스에서 ‘미래 에너지도시(Futuring Energy City)’라는 컨셉을 통해 이 회사가 꿈꾸는 미래 도시의 모습을 공개한다.

LG화학이 5일부터 7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16’에 참가해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첨단 배터리들을 선보인다. LG화학 부스에서 전시도우미들이 ESS 배터리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LG화학 제공]

LG화학은 ‘소형(IT&New Application)’, ‘자동차(Automotive)’,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총 3개의 섹션별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최첨단 배터리와 이를 실제로 적용한 제품들을 함께 전시해 관람객들이 배터리가 바꿀 미래 일상의 모습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각 섹션 간의 이동식 영상과 LED 조명의 연결적 구성을 통해 에너지 저장에서부터 소비까지의 흐름이 모두 LG화학의 배터리와 기술력으로 이루어지는 미래형 에너지자립 도시의 모습을 연출한다.

‘소형 존’에는 곡선 형태의 IT기기에 최적화된 ‘커브(Curve)’ 배터리와 스마트워치용으로 제작된 육각형태의 ‘헥사곤(Hexagon)’ 배터리 등 어떠한 형태의 기기에도 맞춤형으로 제작이 가능한 ‘프리 폼(Free Form)’ 배터리를 선보인다.

‘커브’ 배터리는 LG화학의 고유 제조 기술인 ‘스택 앤 폴딩(Stack & Folding)’ 방식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곡면 형성 시 물리적 스트레스가 적어 성능 및 안전성 측면에서 경쟁사 대비 확고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가벼우면서도 고출력을 필요로 하는 드론용 배터리와 성능 및 안전성에서 매우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NASA에 공급하는 우주복용 배터리 등도 전시된다.

[사진설명=‘인터배터리 2016’에 참가한 LG화학 부스 모습]

‘자동차 존’에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적용되며 세계 최고의 기술력이 입증된 전기차용 배터리 셀과 다양한 모듈들이 실제 전기차와 함께 전시되며, ‘에너지저장장치 존’에는 기존 제품 대비 출력과 에너지밀도를 대폭 개선한 차세대 ESS용 배터리 셀과 주택용 ESS 신제품 ‘RESU 6.5’ 등이 전시된다. 세계 최대 에너지 용량인 4.8MWh 규모의 ESS를 1개의 컨테이너에 구현한 전력망용 솔루션도 함께 전시된다.

주택용 ESS 신제품인 ‘뉴(New) RESU’ 시리즈는 세계 최고의 태양광 전시회인 ‘인터솔라 유럽(Intersolar europe) 2016’에서 ESS부문 본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 받은 바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최첨단 배터리는 물론 이를 적용한 완제품을 함께 전시함으로써 관람객이 배터리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부스를 구성했다”며 “현장에 방문하면 LG화학 배터리가 변화시킬 우리 미래 일상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badhone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