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평창동계올림픽 기념주화, 희소성 높아 소장가치 관심
[헤럴드경제=정진영 기자] 향후 발행될 예정인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기념주화가 희소성을 이유로 높은 소장가치를 인정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기념주화가 높은 소장가치를 인정받으려면 희소성, 보관상태, 인기도 등을 갖춰야 한다. 그중에서도 올림픽 기념주화는 국제적인 인지도를 가진 기념주화로, 다른 기념주화에 비해 수요가 많아 높은 소장가치를 평가 받을 가능성이 높다. 1952 헬싱키 올림픽 기념주화는 2.25달러에 발행됐으나 현재 약 540달러에,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기념주화도 4만8000엔에 발행됐으나 현재 약 10만6000엔에 거래되고 있다.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기념주화의 최대 발행량은 3만원화 금화 4500개, 2만원화 금화 1만5000개, 5000원화 은화 8종 통합 20만개, 1000원화 황동화 7만1000개로 책정돼 있다.

1988 서울 올림픽 기념주화는 총 5차에 걸쳐 32종 1100만여 개가 발행됐다. 반면 평창 동계올림픽 기념주화는 2차 발행을 포함해 총 65만개만 발행될 예정이다. 이는 서울올림픽 대비 17분의 1 수준에 불과한 발행량이다. 또한 평창 동계올림픽 기념주화는 순도 99.9%의 금과 은을 소재로 사용해 소장가치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지난달 22일 서울 충현동 풍산빌딩에서 열린 평창 동계올림픽 기념주화 공개 발표회에 참석한 해외업체 관계자들은 “금화의 경우 개최국을 가장 잘 나타냈으며, 은화의 경우 역대 올림픽 기념주화 중 가장 올림픽다운 디자인”이라며 기념주화의 디자인을 높이 평가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해외 홍보를 위해 최대 발행량의 30% 선 배정된 물량에 대해 해외주문도 완료된 상태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 상황을 종합해 고려할 때 평창 동계올림픽 기념주화는 희소성과 인기도를 충족시키고 있으며, 순금과 순은을 소재로 사용한데다 디자인까지 높은 평가까지 받고 있어 소장가치가 높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1993 대전엑스포 6종 세트의 판매가는 95만원이었으나 현재 거래 시세는 319만원이며, 2002 한일월드컵 6종 세트의 판매가는 130만원이었으나 현재 시세 319만원, 2002 부산아시안게임 6종 세트의 판매가는 144만원이었으나 현재 시세는 495만이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