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소기업, 직원 이탈해도 방지대책이 없다
[헤럴드경제=정진영 기자]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이 직원들의 잦은 퇴사로 인해 비용 부담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지난 9월 28일부터 10월 4일까지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528명을 대상으로 ‘직원들의 퇴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직원들의 잦은 퇴사로 중소기업들이 겪는 가장 대표적인 어려움은 ‘잦은 채용으로 인한 시간 및 비용부담(63.8%, 복수응답)’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조직 분위기 위축(59.3%)’, ‘원활한 업무 진행에 차질(52.7%)’, ‘기존 직원들의 업무량 증가에 따른 업무효율 저하(43.6%)’, ‘기 투입된 교육비용의 손실(22.7%)’, ‘해당 부서의 업무 성과 저하(16.7%)’ 등도 어려움으로 꼽혔다.

다른 회사에 견줘 본인의 회사가 구별될 수 있는 자랑거리, 장점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1.6%가 ‘없다’고 답했다. 사실상 직원들의 이탈을 막을 대책이 없는 셈이다.

이 때문에 인사담당자 대부분(94.3%)이 직원들의 이탈을 막기 위한 방지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인사담당자들은 직원들의 퇴사를 줄이기 위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대책으로 ‘금전적 보상 확대(67.5%, 복수응답)’를 꼽았으며 ‘복지 강화(57.0%)’, ‘소속감 부여 및 기업문화 형성(45.8%)’, ‘업무 효율 향상(24.9%)’, ‘직무 전문성 강화(24.9%)’, ‘조직 및 개인의 성장 가능성ㆍ비전 제시(22.5%)’, ‘업무ㆍ노동 강도 축소(19.9%)’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이렇듯 절대 다수의 인사담당자들이 직원 이탈 방지대책의 필요성을 느끼고는 있지만, 실제로 이런 대책을 마련해 운영하는 기업은 많지 않았다. 설문에 참여한 인사담당자의 57.6%가 ‘자사에 직원들의 퇴사를 줄이기 위한 제도가 마련돼 있지 않다’고 답한 것이다.

반면 퇴사를 줄이기 위한 제도가 마련됐다고 답한 인사담당자는 42.4%를 차지했다. 이들에게 마련된 제도를 물은 결과 ‘복리후생 제도 강화(65.2%)’라는 응답이 1위를 차지했으며 이밖에도 ‘개인 면담ㆍ멘토링 제도 실시(55.8%)’, ‘연봉 및 근무처우 개선(46.0%)’, ‘연수 및 교육 제공(27.7%)’,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기업문화 형성(17.9%)’, ‘유연 근무제도(17.4%)’, ‘희망자 업무ㆍ직무 순환제도(16.1%)’, ‘기업 철학ㆍ비전 상시 공유(12.5%)’ 등이란 응답이 있었다.

이런 제도들이 실제로 직원들의 퇴사 방지에 도움이 된다고 여기는지를 묻자 응답자의 55.4% ‘적지 않게’, 30.4%가 ‘매우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