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석유공ㆍ광자공, 해외자원개발 대여금 3조4000여억원 ‘회수불발’ 위기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광물자원공사가 해외자원개발 과정에서 국내외 법인 및 자회사에 총 3조 3500억원의 자금을 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외자원개발 기업 대부분이 심각한 경영난에 처하면서 대여금 회수조차 불발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최연혜 새누리당 의원이 석유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석유공사는 자회사 하비스트 오퍼레이션(Harvest Operation Corp)에 총 3억 8254만 달러(4200억원)를 빌려줬다. 하비스트 오퍼레이션은 저유가의 지속과 차입금 증가로 2014년 하반기부터 꾸준히 부채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위험 회사다.

석유공사는 또 GS에너지와 컨소시엄을 맺고 아랍에미리트(UAE)에 설치한 유전개발기업(KADOC Ltd)에 3년간 1억 1000만달러(약 1200억원)를 추가로 대여했다. 이 기간 유전개발기업의 당기순손실은 약 2000만달러(약 220억원)에 달했다.

광물자원공사 역시 암바토비 니켈 광산 사업 법인으로부터 환수받아야 하는 금액이 4800억원에 달함에도, 최근 3년간 3억 4000만달러(약 3800억원)를 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 의원은 “해외에 회수하지 못할 대여금을 투입하는 것은 단순히 회사의 손해가 아니라, 국민의 혈세를 매몰시키는 것”이라며 “사업별 투자에 대한 재평가를 조속히 시행하고, 투자가 잘못됐다고 판단될 때는 매각시점에 대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