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8ㆍ25대책 이후 택지지구 후끈…비인기 단지도 웃돈 ‘껑충’
대책 이후 공공택지 청약경쟁률 18대 1
택지지구 단지별 분양권 웃돈도 ‘高高’
수도권 공공택지 2만5000여 가구 공급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분양시장에서 공공택지 아파트의 인기가 뜨겁다. 정부가 가계부채 대책의 일환으로 공공택지 축소 결정에 해당 단지들의 마감행진이 이어진다. 분양권 웃돈은 큰 폭으로 올랐다.

금융결제원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 8ㆍ25대책 이후 9월 말까지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분양한 단지는 모두 1순위에서 모집가구수를 채웠다. 총 9개 단지, 7398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13만2234명이 몰렸다. 평균 경쟁률은 17.87대 1에 달했다. 올해 공급된 경기ㆍ인천 아파트 1순위 평균 경쟁률(7.08대 1)의 2배를 웃도는 수치다.

부영그룹이 지난 8월 경기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 A70ㆍ71ㆍ72블록에 공급한 ‘동탄2신도시사랑으로부영’이 한 예다. 단지는 1순위에서 각각 53.54대 1, 61.1대 1, 53.0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금강주택이 같은 시기 남양주 다산신도시에 선보인 ‘다산신도시 금강펜테리움 리버테라스’도 1순위에서 21.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정부의 공급축소 발표 이후 택지지구 아파트 분양권 웃돈은 큰 폭으로 올랐다. 9월부터 전매제한이 풀린 다산신도시 B7블록의 ‘다산진건유승한내들센트럴’ 전용 84㎡는 5000만~6000만원 가량의 웃돈이 형성됐다. 10월 전매제한이 풀리는 중대형 아파트 ‘다산신도시 아이파크’도 비슷한 수준의 웃돈이 붙었다.


다산신도시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8ㆍ25대책 발표 전까지 웃돈이 3000만원 안팎에 형성됐지만, 이후 매도자들이 매물을 거두거나 가격을 올려 다시 내놨다”며 “매물도 부족한 데다, 구입하려면 최소 5000만원 이상의 웃돈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 시흥목감지구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난 8월 전매가 풀린 B-2블록의 ‘시흥목감신안인스빌’은 분양 당시에는 청약경쟁률이 2대 1에 그칠 정도로 인기를 끌지 못했다. 그러나 대책 발표 이후 웃돈이 커졌다. 현재 전용면적 84㎡에 2000~300만원의 프리미엄이 형성됐다는 것이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쏟아지는 공급물량으로 집값 전망이 불투명했지만 정부의 공급 축소 발표로 되레 활기를 되찾은 상황”이라며 “서울 접근성이나 교통호재가 좋은 중심으로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는 만큼 실거주 입장에서 청약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하반기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2만5000여 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현대건설은 이달 인천 송도국제도시 6ㆍ8공구 A13블록에서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 2차(889가구ㆍ조감도)’를 선보인다. 워터프론트 호수를 걸어서 즐길 수 있다. 복합도시로 계획된 랜드마크시티의 인프라를 이용하기도 좋다.

아이에스동서는 6일 경기도 남양주시 다신신도시 지금지구 B2블록에서 ‘다산신도시 센트럴 에일린의 뜰(759가구)’을, 요진건설산업은 5일 경기도 화성시 송산그린시티 EAA3블록에 ‘송산신도시 요진 와이시티(680가구)’ 청약을 받는다. 또 우미건설은 경기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 C17블록에서 ’동탄린스트라우스 더 레이크(956가구)’를 분양한다. 동탄 호수공원을 끼고 있어 조망권 확보는 물론 쾌적한 주거환경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