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자동차 유해 배기가스로 친환경 차 부품까지 만든다…국내 산ㆍ학ㆍ연 중심의 폴리케톤 출원 급증
[헤럴드경제(대전)=이권형 기자] 폴리케톤은 자동차 유해 배기가스 중 하나인 일산화탄소(CO)와 석유화학계 올레핀을 합성해 제조되는 신소재로서, 가볍고 강한 특성으로 인해 자동차 경량화용 친환경 소재로 활용키 위한 연구가 최근 국내 기업, 연구소 및 대학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특허 출원도 급증하고 있다.

특허청(청장 최동규)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이 2013년에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폴리케톤의 제조 및 제품 개발 관련 출원이 국내 기업, 연구소 및 대학을 중심으로 2014년부터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폴리케톤 관련 출원의 연도별 현황은 2006년~2013년까지 매년 10~20여건 정도에 불과하던 것이 2014년 105건, 2015년 109건으로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ㆍ외 출원인의 비중을 보면 국내 출원인의 비중이 높았고, 특히 출원이 급증한 2014과 2015년에는 1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국내 출원인에 의해 출원됐다. 이는 외국에서는 양산 실패로 유사한 물성의 다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활용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국내 기업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 기술을 개발해 양산 준비 중이기 때문이다.

주요 국내 출원인은 ㈜효성이 261건, ㈜현대자동차가 7건을 기록했으며, 특히 효성의 출원 비중은 84.5%로 매우 높았다. 주요 국외 출원인으로는 브리지스톤(日)이 4건 있다.

폴리케톤 관련 기술은 크게 ▷폴리케톤 제조 ▷물성 보완을 위한 조성물 ▷제품으로 나뉜다. 2008년까지는 폴리케톤 제조 관련 출원 비중이 높고, 2009년 이후로는 폴리케톤 조성물 관련 출원 비중이 증가했다. 또한,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2013년 이후에는 폴리케톤을 활용한 자동차용 엔진 커버 등의 제품(용도) 관련 출원이 증가해 2015년에는 출원 비중이 약 89%까지 높았다.

이는 연구개발 초기에는 폴리케톤 제조에 연구개발 역량이 집중됐고 이후 개발된 폴리케톤의 물성을 보완키 위한 조성물 관련 연구가 활발히 수행됐으며 상용화가 성공한 2013년 이후에는 자동차ㆍ전기전자 분야 내ㆍ외장재, 자동차용 호스(튜브), 타이어 보강용 코드, 엔진 커버, 휠 커버 등에 폴리케톤을 적용키 위한 연구가 집중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허청 좌승관 고분자섬유심사과장은 “폴리케톤은 현재 상용화된 여러 플라스틱 재료 중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양산화에 성공한 유일한 플라스틱”이라면서 “산ㆍ학ㆍ연간 효율적인 협업 관계 구축을 통해 가격 및 품질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간다면 미래 국가경쟁력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