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ETRI ? 부산시, 영상산업 4.0 시동을 걸다···영상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선도
[헤럴드경제(대전)=이권형 기자] 시나리오만 작성하면 누구나 영화나 방송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1인 미디어 창작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부산시와 공동으로, 부산시를 상호작용이 가능한 미디어 창작 서비스의 플랫폼으로 구축하고, 영상산업 특화도시로 육성키 위한 공동 프로그램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 공동 프로그램은 축적된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활용, 이용자가 직접 만든 시나리오에 따라 다양한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창작하고 거래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플랫폼 개발이다.

이를 기반으로 부산시를 인터랙티브 영산산업 비즈니스 생태계의 중심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인터랙티브 미디어 창작이란, 정해진 시나리오에 따라 결말과 진행이 정해진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작되는 기존의 영상 미디어와 달리, 콘텐츠를 즐기는 이용자 입장에서의 다양한 진행 시나리오가 전개될 수 있도록 미디어를 제작하는 것이다.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가상현실(VR)의 경우,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새로 촬영을 하거나 전용 영상을 만들어야 하지만, 본 기술을 활용하면 이미 만들어진 영상을 이용, 다양하고 독창적인 개인 창작물을 VR기술로도 쉽게 만들 수 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제작 도구 뿐만 아니라 창작 영상물에 대한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인프라를 구축, 부산국제영화제 및 부산단편영화제 등의 기존 인프라와 융합적 시너지를 일으켜, 부산 지역을 영상산업 관련 중소기업 육성의 전초 기지화할 예정이다.

기술적인 부분은 ETRI 부산공동연구실을 중심으로 부산시 대학 및 중소기업들과 공동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며, 영상 산업과 관련된 인력 양성 및 부산 지역 영상 산업 관련 중소기업의 애로기술 해결을 위해 임무형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기술개발 사업은 총 5년의 기간 동안 정부출연금과 부산시 매칭사업비가 각각 98억 5000만원씩 투자된다.

ETRI 이현우 스마트플랫폼연구부장은 “영상 인터랙션 관련 아이디어 및 미디어 창작 공모전과 같이 대중의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영상 콘텐츠 사업화에 대한 지원 사업을 병행할 것”이라며 “부산의 풍부한 관광 인프라ㆍ오프라인 산업과의 연계해 부산시의 ICT 관련 산업계에 새로운 먹거리 생태계를 안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