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30세대 2명 중 1명 ‘나홀로족’ 된 까닭은
[헤럴드경제]청년 세대를 중심으로 ‘혼밥’(혼자 밥 먹기), ‘혼술’(혼자 술 먹기), ‘혼영’(혼자 영화 보기) 문화가 확산하는 가운데 2030세대 2명 중 1명은 자신을 ‘나홀로족’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에 따르면 자사 회원인 20∼30대 성인 남녀 1593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52.5%가 ‘나홀로족에 해당한다’고 답했다.

이들은 나홀로족이 된 가장 큰 이유로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할 수 있어서’(75.9%ㆍ복수응답)를 꼽았다. 이어 ‘혼자만의 시간이 보장돼서’(66.4%),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려고’(36.7%), ‘남에게 맞추는 게 힘들어서’(35.5%), ‘남들과 비교되는 게 싫어서’(10.6%) 등을 꼽았다.

혼자 하는 활동 1위는 95.3%(복수응답)가 택한 ‘혼밥’이었다. 다음은 ‘쇼핑’(84.3%), ‘운동’(83.6%), ‘영화 보기’(74.7%), ‘여행’(59.7%), ‘음주’(48%), ‘드라이브’(43.1%), ‘노래방 가기’(30.9%) 등의 순이다.

나홀로족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만족도는 73.1%에 달했다. 이는 나홀로족에 해당하지 않는 응답자(756명)들이 만족한다는 응답률(64.4%)보다 높은 수준이다. 

‘나홀로’ 문화의 확산에 대한 평가는 전체 응답자 가운데 86.0%가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특히 여성은 91.2%가 이같이 답해 남성(82.6%)보다 비율이 높았다.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방해받지 않을 수 있어서’(67.4%·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자기 주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어서’(55.4%), ‘불필요한감정 소모를 안 해도 돼서’(53.1%),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는 것 같아서’(44.6%), ‘효율적인 것 같아서’(42.7%) 등의 답변이 나왔다.

응답자들은 ‘나홀로’ 문화가 확산하는 원인으로 ‘개인주의 가치관의 확산’(44.1%), ‘경제 불황’(19.8%), ‘비혼자 증가’(12.1%), ‘청년실업 증가’(8.9%), ‘가족의 의미 변화’(5.3%) 등을 들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