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반도 대지진 오나’…극강 공포, 전국으로 확산
[헤럴드경제] 경북 경주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일어난 지 1주일 만인 19일 규모 4.5의 강한 여진이 다시 발생하자 전국이 불안에 휩싸였다.

진앙인 경북과 인근 영남 지역에서는 비슷하거나 더 큰 규모의 대지진이 일어나지 않을까 노심초사했고 근거 없는 괴담도 다시 퍼지는 등 지진 공포가 커지고 있다.

기상청은 19일 오후 8시 33분께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1㎞ 지역, 깊이 14㎞ 지점에서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진은 이달 12일 경주 인근에서 규모 5.8 지진이 발생한 이후 300여 차례이어진 여진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1주일 만에 다시 강한 여진이 발생하자 진앙과 가까운 경북 주민들은 큰 불안을 호소했다.

이날 연합뉴스에 따르면 특히 지난 12일 지진의 진앙인 경주 내남면 부지리 주민들은 갑작스러운 진동을느낀 후 크게 놀라 마을회관으로 속속 대피했다.

최두찬(55) 부지 1리 이장은 ”주민들이 차량만 지나가도 깜짝깜짝 놀랄 정도로 정신적인 충격이 큰 데 또다시 큰 여진이 나 완전히 사색이 돼 있다“며 ”일단 마을회관에 모여 있는데 또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두 불안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주에서만큼이나 큰 진동을 느낀 부산·울산 등 영남 지역 시민들도 공포감에 휩싸인 건 마찬가지다.



부산의 한 중학교 교사 정혜진(36·여)씨는 ”집 근처 카페 2층에서 커피를 마시는데 3초간 건물이 일렁이는 느낌이 들었다“며 ”옆 테이블에 있던 아기 엄마는 아이를 안고 급히 1층으로 뛰어 내려갔다“고 지진 감지 후 다급했던 상황을 설명했다.

이날 지진으로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을 비롯해 광주와 대전 등 전국에서 진동이 감지됐다.

이날 발생한 지진은 12일 지진보다 큰 규모는 아니었지만 딱 1주일 만에 발생하는 등 괴담의 내용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일부 전문가도 잦은 지진에 우려를 표하며 한반도에서 대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지진이 너무 잦은 것이 심상치 않다“면서 ”이번 지진이 여진인지 아니면 대지진의 전진인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고 우려했다.

이어 ”한반도에서도 규모 6.5 이상의 대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며 ”정부에서 원전에 대한 터부 때문에 자꾸 ‘안전하다’고 강조하는데 국민에게 솔직하게 지진의 위험성을 알리고 대피요령을 설명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헌철 지진연구센터장은 ”양산단층 서쪽의 제2, 제3의 단층들이 서로 영향을 주면서 여진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과정으로 지진 발생 빈도는 더 잦아지겠지만 규모는 더 커지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응력을 해소하는 과정으로 충분히 예상 가능하며, 앞으로도 6.5 이하의 지진은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면서 “한반도 대지진의 전조는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