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폭염은 재난, 상시 대응체계 마련 시급하다
아침 저녁 선선해진 날씨에 폭염 피해가 금새 잊혀지고 있다. 하지만 이번 폭염은 분명 재난이었다. 게다가 앞으로는 더욱 빈번해질 가능성도 높다. 넘어갔으니 잊어도 될 일이 아니다. 지난 2003년부터 10년간 열사병 등 폭염으로 인한 국내 사망자 수(293명)가 같은 기간 홍수, 태풍, 폭설 사망자(280명)보다 많다. 이미 폭염은 다른 재난에 비해 결코 가볍지 않다는 게 증명된 셈이다.

이제 폭염은 전 지구적인 재난이다. 지난 7월 세계 평균기온은 1880년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래 사상 최고치였고 상상치도 못한 피해가 속출했다. 그랜드 캐년에서는 폭염에의한 자연발화로 산불이 났고 러시아에선 고온으로 동토층에 묻힌 탄저균이 튀어나와 75년만에 탄저병 환자가 발생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었다. 8월(1일~25일) 서울의 평균 기온은 29.6도로 평년보다 3.6도나 높아 1907년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최고다. 남해안 바닷물은 예년보다 5도나 높다. 이로인한 온열질환자는 총 2075명에 달했다. 지금까지 가장 많았던 2013년 1189명보다 65%나 늘었다. 사망자도 역대 가장많은 17명이다. 15년만에 재발한 콜레라도 폭염과 무관치 않다.

중요한 것은 미래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28일 발표한 한반도 미래 폭염 피해 시뮬레이션 결과는 충격 그 자체다. 2029년 폭염 연속 일수가 연간 10.7일로 늘고 온열질환 사망자 수도 99.9명에 육박한다는 것이다. 2050년에는 각각 20.3일, 사망자 수는 250명이 넘을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10년간 연평균 폭염 연속 일수는 5일 안팎에 불과했다. 최고 기록이라는 올 8월 서울의 폭염도 연속 일수가 11일이다.

2050년까지 한반도 평균 기온이 3.2도 상승하고 폭염 일수도 현재보다 약 3배 늘어날 것이라는 기상청의 예측도 궤를 같이 한다. 환경부 역시 폭염으로 인한 사망 부담이 인구 10만 명당 0.7명(2010년)에서 2036년 1.5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폭염에 대한 정책적 대응 수위를 높이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고려해야 할 범위는 적지 않다. 폭염은 질병과 직결된다. 평균온도가 1도 올라가면 말라리아는 17% 증가한다. 쯔쯔가무시 렙토스피라 등의 증가도 불러오고 결핵, 수두, 레지오넬라증 환자까지 늘어난다. 폭염을 감안한 국가 감염병 감시관리시스템의 재정비는 절실하다. 전기료 누진제 개선 논의에서 재난으로서의 폭염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도 그런 이유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