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단서를 찾아라! ‘민완탐문단’ 발족
-한국민간조사학술연구소, 9월부터 단서 발견 서비스



[헤럴드경제=이진용 기자] 한국형 민간조사(탐정)학술 진흥 허브로서의 역할에 충실해 온 한국민간조사학술연구소(소장 김종식ㆍ사진)는 개인정보 및 사생활 영역 등 법률이 특히 보호하고 있는 분야를 제외한 다양한 부문에서의 공ㆍ사적 궁금증 해소에 도움을 줄 가칭 ‘민완탐문단(敏腕探問團)’을 발족, 오는 9월부터 서비스에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이 ‘민완탐문단’은 활동에 있어 특정인의 소재나 연락처 탐지 등 타인의 사적 공간(사생활 등 비공개 정보)에의 접근을 지양하고, 일체의 불법ㆍ부당한 수단과 방법을 배격한다. 오로지 ‘축적된 경험에 입각한 탐문술과 합리적 추리’만으로 사건ㆍ사고ㆍ쟁점 등의 문제해결에 유용한 단서(clue)를 포착하여 관련학술 진흥 차원에서 필요한 사람이나 단체ㆍ기관 등에 제공하게 된다.

특히 ‘민완탐문단’은 수사기관이나 변호사 또는 외국의 사립탐정(민간조사원) 등과 달리 내막을 처음부터 끝까지 추적하는 밀착형 조사활동은 하지 않으며, 오로지 고도의 노하우로 ‘단서 포착(발견)’이라는 궁금해소를 위한 단초적(결정적) 서비스 제공에 중점을 둔다. 법률적ㆍ행정적 분석이나 자문은 일체 하지 않으며, 정보원ㆍ탐정ㆍ그 밖에 이와 비슷한 명칭도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무조건적으로 의뢰받지 않고 자체심사에서 적정성이 인정되는 사안(월1건 정도)에 대해서만 ‘민완탐문단’활동을 개시한다.


김종식 소장은 ‘민완탐문단’의 활동은 일부 심부름센터의 불법 사생활조사 등 재래의 음성적 민간조사업(흥신업)과는 ‘격(格)과 결’이 다름을 강조하고 그 목적과 활동상 차원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획기적인 프로그램임을 선언하고 있다. 특히 수사ㆍ정보ㆍ언론취재분야 등에서 20년이상의 경력을 지닌 탐문 전문가로 구성되는 ‘민완탐문단’의 절제된 목표와 활동양태는 머지 않아 도입될 것으로 전망되는 공인탐정(사설탐정)의 활동수단과 업무범위 설정 등에 좋은 바로미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민완탐문단’활동은 변호사업무나 국가기관의 수사나 각종 조사활동에도 긍정적으로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한국민간조사학술연구소(소장 김종식)는 2010년 9월에 민간조사제도와 탐정술 연구 등을 목적으로 출범한 민간학술단체다. 지금까지 수편의 저널논문 발표와 ‘탐정학술편람’ ‘민간조사제도의 실제(實際)’ ‘민간조사학개론’ ‘민간조사제도(탐정업) 도입은 시대적 요청’ ‘경찰학개론’ ‘경호학’ 등 관련학술서 출간에 이어 2011년 4월 국회 대토론회 주제발표, 200여편의 민간조사업법(공인탐정법) 제정 촉구 칼럼 기고, 채널A 및 KBS 등 수회의 방송토론, 수십회의 설명회ㆍ인터뷰 등을 통해 민간조사제도의 유용성과 발전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발족 초기에 구성한 ‘연구위원단(28명)’을 2015년 9월 ‘민간조사학술정합 전문위원단(30명)’으로 확대 개편하여 민간조사의 논리와 기술 등 관련학술의 정합과 실용화ㆍ전문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한국범죄정보학회 및 헤럴드 탐정포럼(www.piforum.co.kr)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탐정학술의 정체성을 널리 보급하고 있다. 

jycaf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