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기의 철강] 권오준 회장 “기업 스스로 강력한 구조조정해야”
-해외에선 통상마찰 국내선 수입산 철강재로 ‘시름’

-글로벌 철강무역대전, 위기 탈출 위해 민관협력 필요

-기업 스스로 강력 구조조정해야




[헤럴드경제=조민선 기자] 권오준<사진> 포스코 회장이 미국발 통상 마찰과 내수 침체로 안팎의 위기에 처한 한국 철강산업을 살리기 위해 민관(民官)이 합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기업 차원에선 스스로 강력한 구조개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회장은 24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스틸 코리아 2016(Steel Korea 2016)’ 행사에 한국철강협회 회장 자격으로 참석해 이같은 메시지를 전했다.

권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한국 철강업계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국내 수요산업의 약화로 어려운 시기를 맞고 있다”며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려면 산(産), 학(學), 연(硏), 관(官) 모두 힘을 모아 대응력을 강화하고 변화를 이끌어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발(發) ‘관세폭탄’으로 충격에 빠진 상황을 ‘글로벌 철강 무역대전’이라고 표현하며,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권 회장은 “미국 등 주요 철강국이 수입규제를 잇따라 강화하면서 통상마찰이 유례없이 고조되고 있다. 15건이 추가로 피소되면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민관 차원의 합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기업 스스로는 강력한 구조조정을 통해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권 회장은 “중국은 2020년까지 1억5000만톤의 설비 감축 계획을 발표했고, 일본도 M&A를 통한 구조개편을 통해 체질을 강화하고 있다“며 ”우리도 기업 스스로 강력한 구조개혁을 통해 어떤 환경에서도 흔들림 없는 경영체질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업계의 맏형 격인 포스코가 주도적으로 나서 구조조정 드라이브를 거는 것으로 풀이된다. 포스코는 지난해 포스하이알 등 계열사 34건과 포스코건설 사우디 PIF 지분 매각 등 자산 12건 등 총 46건의 구조조정을 완료했다. 포스코는 내년까지 95개 계열사를 정리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중국산 철강재 수입이 늘면서 내수시장이 무너지는 상황도 우려했다. 권 회장은 “산업이 지속 성장하는데 튼튼한 내수가 매우 중요하다“며 ”불공정 제품의 수입과 유통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자동차, 건설 등 관련 수요업계와는 굳건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최근 국회에선 국회의원들의 연구단체 ‘철강포럼’이 출범해 국내 철강산업의 생존을 모색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철강포럼 공동대표인 박명재 새누리당 의원은 저(低)품질의 수입산 철강재의 사용을 줄이는 내용의 법안 발의를 포럼의 1호 법안으로 준비중이다.

한편, 스틸 코리아 세미나는 작년에 이어 두번째 개최됐으며, 급변하는 철강산업의 현 상황을 직면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권오준 회장을 비롯해 우유철 현대제철 부회장,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 송재빈 철강협회 상근부회장, 이종수 대한금속재료학회 회장, 주세돈 대한금속재료학회 철강분과위원장, 박영동 한국철강자원협회 회장 등 업계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에서는 프라이메탈의 안드레스 플릭(Andreas Flick) 부사장의 ‘철강기술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기조연설을 비롯해 ‘중국 및 세계 철강시장’ ‘철강소재의 산업별 이용기술 현황 및 전망’ 등 다양한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