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입사원 학력보다 자격이 중요”…직무관련 항목 요구 증가
[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1 A기업은 입사지원서에서 사진, 연령, 가족관계 등을 요구하지 않으며, 직무적합성 평가를 새롭게 도입해 직무관련 전공 수강과 관련 경험을 보는 등 직무능력 중심으로 채용하고 있다. 

#2. B기업은 인사팀이 아닌 실제 채용할 부서의 직무 전문가들이 채용과정에 참여해 지원자의 이름을 제외한 나머지 정보는 배제한 채 직접 자기소개서를 읽고 직무경험 중심으로 평가하고 있다.

#3. C기업은 학력, 연령, 어학성적 등의 불필요한 스펙은 배제했으며 올해 상반기부터 자기소개서와 면접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활용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24일 고용부가 함께 518개 기업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기업 채용관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설문조사결과 기업에서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항목은 자격(54.9%), 학력(34.8%), 인턴경력(28.0%) 순이라고 응답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65.2%), 제조업(63.7%), 숙박ㆍ음식업종(69.7%)에서 자격을 중요하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기업에서 자격이 더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다만, 1000명 이상 기업에서는 학력과 자격을 동등한 비율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입사지원서에서 직무능력과 무관한 인적사항을 요구하는 기업은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키,몸무게, 혈액형은 10%포인트 이상 큰 폭으로 감소했다. 그밖에 본적, 가족관계를 요구하는 기업도 줄었다.

1000명 이상 기업에서 불필요한 인적사항을 요구하는 비율이 낮아졌다. 다만, 아직도 많은 기업에서는 직무와 무관한 생년월일, 가족관계 등 인적사항을 요구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소위 ‘9대 스펙’ 중 성형수술을 제외한 8가지 항목에 대해 입사지원서에서 요구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직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 중심으로 기업의 요구가 증가했다. 특히, 인턴경력, 공모전은 10%포인트 이상 큰 폭으로 늘었다. 


기업규모가 클수록 다양한 스펙에 대해 요구하는 비율이 높았다. NCS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58.5%로 전년대비 22.2%포인트 증가했으며, NCS를 활용하고 있거나 활용할 예정인 기업은 26%로 전년대비 21.4%포인트 늘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48%), 도소매ㆍ유통업(45%), 제조업(26%)에서 NCS를 활용할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업규모가 클수록 NCS를 활용할 예정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많았다.

NCS 활용분야는 채용(16%), 재직자 훈련(10%), 배치ㆍ승진(7%) 순으로 높았다. 신입직원 채용 시 공개채용의 비율은 줄어들었으며, 공개채용과 수시채용을 병행하는 비율은 증가했다. 신입직원 채용 시 모집단위는 직무별 채용이 많았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공개채용 비율이 감소했다. 기업규모가 클수록 공개채용 비율이 높았으나 전년 대비 감소 추세(1000명 이상 33.3% →29.2%)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 이상돈 본부장은 “하반기 신입채용 트랜드는 한마디로 ‘NCS 등을 활용한 직무적합성 평가’로 볼 수 있으며, 기업들이 면접전형을 통해 지원자의 실무역량과 직무적합성 등에 대한 평가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NCS 기반 교육훈련ㆍ채용 전문가인 어수봉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는 “이번 실태조사에서 기업들이 직무능력을 중시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신입사원 채용 시 학력보다 자격을 중시한다는 것은 우리나라 채용관행에 있어 큰 변화로 보여진다.“고 밝혔다.

대한상공회의소 박종갑 공공사업본부장은 “스펙이 아닌 직무능력으로 직원을 선발한 기업에서 신입직원의 업무성과 향상은 물론 채용 후 조기 이직률을 낮추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며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을 도입하고자 하는 중견ㆍ중소기업은 정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지원하는 컨설팅과 교육을 활용하면 매우 유용하다”고 강조했다.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