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미 금리인상 임박…구조개혁만이 유일한 대응책
미국의 9월 금리 인상설로 글로벌 경제가 출렁이고 있다. 윌리엄 더들리 뉴욕연방은행 총재의 발언이 연내 인상에서 조기 인상쪽으로 선회하는 분위기에 불을 질렀다. 그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부의장인데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복심’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그의 발언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더들리 총재는 “추가 금리인상이 적절해지는 지점에 가까워졌으며 9월 FOMC 회의에서 추가 금리인상 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당연히 시장은 투자심리 위축으로 즉각 반응했다. 신흥시장 오름세는 멈췄고 뉴욕증시도 사상최고치 행진에 제동이 걸렸다. 다우 지수는 0.45% 하락했고 S&P500 지수도 0.55% 내렸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은 7월 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0.7% 늘면서 2014년11월 이후 최고 증가폭을 나타냈고 7월 주택착공도 전월 대비 2.1% 증가하는 등 각종 지표의 호전에 기반한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달러가 강세로 돌아서고 신흥국으로 몰려갔던 자금의 선진국 회귀현상이 나타난다. 이른바 ‘그레이트 로테이션(Great Rotation)’이다. 이 경우 대부분의 신흥국들은 긴축 통화정책을 펴야 한다. 급격한 자금 유출로 인한 외환위기에 처하지 않으려면 환율을 방어하고 통화가치 하락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경제에 주름살이 가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우리의 경우 외환보유액이 3000억 달러를 넘고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여전한데다 대외 건전성도 높아 미 금리 인상의 여파는 상대적으로 적다. 지난해말 미국이 양적 완화를 정상화 할 당시 끄떡없던 것으로 이미 증명됐다. 그렇다해도 마땅한 대처 수단이 없다는 것은 여전한 숙제로 남는다. 경상수지 흑자는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줄어드는 불황형이고 경기도 나쁜데 금리를 따라 올릴 수도 없다. 이미 재정 건전성 낮은 빚더미 공화국인데 눈덩이 적자를 감수하며 확대재정 정책을 펼 수도 없다. 덜 불안할뿐 위험하긴 마찬가지라는 얘기다.

1997년 IMF 금융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세계 경제의 위기는 잊을만하면 찾아온다. 호황과 불황이 아니라 위기와 극복의 순환 사이클로 돌아가는 셈이다. 위기 때마다 불안에 떨 수는 없다. 위기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 결국 수출과 내수의 경쟁력을 동시에 가지는 체질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 정공법이 최선의 방안이다. 기업 구조 조정을 통해 산업 구조를 고도화하고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여기에 노동시장 구조 개혁은 필수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