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시는 사교육비 전쟁…여학생은 수시 유리”
[헤럴드경제]사교육비가 수능 위주인 정시 전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구 소득이 높은 집안 아이일수록 수시나 입학사정관(현 학생부종합전형)보다 정시로 대학에 진학하는 비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교육을 잡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수능이 정작 사교육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여학생은 정시보다 수시로 대학에 진학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내신 관리에 더 엄격하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15일 ’대학입학전형 선발 결정요인 분석‘(고려대 이기혜ㆍ최윤진) 논문을 보면, 부모의 교육 수준이 높고 가구 소득이 많은 집단에서 정시 일반전형으로 대학에 진학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사진=헤럴드경제DB]

구체적으로 가구 소득이 가장 높은 4분위에서는 전형별 대학진학률(정시ㆍ수시는 일반전형 기준)은 정시 55.3%, 수시 37.8%, 입학사정관 6.9%인데 반해 소득이 제일 낮은 분위 집단에서 정시 44.8%, 수시 42.1%, 입학사정관전형이 13.1%였다.

부모의 학력을 기준으로 보면, 고졸 이하 집단에서는 정시 48.4%, 수시 41%, 입학사정관 10.6% 순이었지만, 전문대졸 이상 집단에서는 정시 56.8%, 수시 34.1%, 입학사정관 9.1%로 부모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정시 진학률이 높았다.

이런 결과는 가구 소득이나 부모의 학력 수준이 수능시험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하는 정시 전형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전의 연구에서도 정시에 진학한 학생이 수시에 진학한 학생보다 사교육비를 더 지출한다는 분석이 있었다.

논문은 “사교육비는 상대적으로 정시 일반전형으로 대학에 진학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다”고 분석했다.

한편, 정시보다 수시의 진학 가능성을 높이는 데는 성별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여학생일 때, 정시 일반전형 대비 수시 일반전형의 승산비가 1.54배 높았다.

수시가 정시보다 내신 반영률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고교 내신을 관리하는 데 여학생이 더 유리할 개연성이 있음을 보여준다는 게 논문의 분석이다.

논문은 “최근 대입전형 정책이 사교육비 경감 차원에서 점차 정시 비중을 줄이고 수시에서도 수능 영향력을 낮추는 방향으로 추진되는 상황은 이런 연구결과가 어느 정도 반영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이용, 2011학년도 대학 입학자와 2012학년도에 재수로 대학에 입학한 학생 총 2103명의 표본을 분석한 것으로, ’한국교육학연구‘ 최신호에 게재됐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