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정부 내성관리대책, 항생제 남용국 오명 벗어나길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이 11일 총리 주재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확정됐다. 의료기관의 항생제 적정사용을 유도하고 사람과 농축산물 등 내성균 통합 감시 체계를 구축 등이 주요 내용이다. 국제공조 강화는 물론이고 항생제 내성 전문위원회도 설치된다. 정부는 2020년까지 향후 5년간 매 반기별로 이행 점검을 통해 수정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정부가 국가 차원의 중요 사업으로 항생제 문제를 다루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EU(2011년)나 미국(2014년) 등 선진국보다 다소 늦기는 했지만 지금이라도 시작한 것이 다행이다. 그만큼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한 문제는 심각하고 위험하다. 약 처방을 통해 먹게 되는 경우 외에도 항생제를 먹고 자란 축산물,어패류 섭취로 인한 간접 흡수도 점차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체에 항생제가 자주 투입되면 병원균도 점점 저항력을 키운다. 결국 어떤 항생제에도 죽지 않는 강한 세균이 생겨난다. 바로 슈퍼박테리아다. 한국에서도 2010년 처음 검출됐다. 100개 대형병원에서 발생하는 슈퍼박테리아 감염만 연간 8만건에 이른다. 통계로 보고되는 게 이 정도지 실제로는 훨씬 더 많다.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되면 간단한 맹장 수술에도 생명이 위협받게 된다.

항생제 내성균은 신종감염병과 유사한 파급력을 지니고 인류의 생존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한다. 영국 정부가 지난 5월에 내놓은 보고서는 항생제 내성에 대처하지 못할 경우 2050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연간 1000만 명이 사망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그 어떤 질병보다도 높은 사망률이다. 이로 인해 세계 경제는 100조달러 규모의 타격을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한국의 상황이 특히 심각하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항생제 사용량은 OECD 최고 수준이다. 1000명당 30명꼴로 매일 항생제를 복용하고 있어 OECD 평균(21명)과 비교해 1.4배나 높다. 한국이 이처럼 부끄러운 항생제 남용 대국이 된 것은 의사들의 과도한 처방 탓이 크다. 감기에 걸려 동네 병원을 찾아도 한 번에 대여섯 개의 알약을 받아들기 일쑤다. 그 중 어느 하나라도 걸려서 차도가 생기면 좋다는 식이다. 오죽하면 의사 처방전을 받아 조제해주는 약사들이 자기 자식들에게는 이약저약 빼고 먹인다고 할 정도다. 감기약의 항생제 처방률은 지난 2002년 73.3%에서 많이 떨어지기는 했지만 지난해 44%로 아직도 몇년째 그 수준이다. 의사들의 인식 전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