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도 韓열연강판 반덤핑관세 부과] 당장 피해는 '미미'..후폭풍 우려
-포스코 “고급강 위주 생산, 피해 미미”

-문제는 각국 보호무역주의의 확산 기류

-개별기업 차원을 넘어서는 국가간 통상마찰로 비화


[헤럴드경제=조민선 기자] 미국에 이어 인도 정부가 한국산 열연강판에 반덤핑관세를 부과키로 예비판정하자 국내 철강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인도의 경우 피해가 미미한 수준이지만, 미국에 이어 인도까지 자국의 보호무역주의를 강조하면서 이 분위기가 확산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국내 철강업계는 당장 인도 정부의 열연강판 반덤핑관세 부과로 인한 피해는 적을 것으로 전망했다.


포스코는 10일 “인도에서 완성차 업체로의 고급강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며 “소재의 수입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영향은 미미하다”고 밝혔다. 현대제철은 ”인도 정부가 발표한 열연강판 기준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어 추가로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은 낮아보인다”고 밝혔다.

인도 재무부는 8일(현지시간)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브라질, 인도네시아산 열연강판에 대해 t당 474달러(약 52만원)의 최저 수입 가격을 산정한다고 발표했다. t당 474달러 이하로 제품을 수출할 경우 반덤핑관세를 물리겠다는 의미다. 다만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경우 인도 정부가 기준으로 잡은 474달러 이상으로 가격을 책정한 상태라 별다른 타격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판정이 최종판정이 아닌 예비판정으로, 인도가 최종 결과를 어떻게 내놓을지 관심이 쏠린다.

더 큰 문제는 인도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면서, 한국 철강업계에 미칠 영향이다. 특히 이번 인도 정부의 태도는 미국의 한국산 철강재 반덤핑관세 부과와도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 철강업체들은 미국의 수출길이 막히면 동남아 등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야 하는 상황이라 더욱 긴장되는 상황이다. 이미 유럽연합도 지난 4일 중국산 냉연강판에 19.7~22.1%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고 나서며 국가간 통상마찰 기류도 심상치 않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전세계 철강업계가 공급 과잉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미국 중심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면서, 각 기업 차원을 넘어서 국가간의 통상 마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번 이슈는 국내서 진행중인 구조조정 작업에도 불을 당길 것으로 예상된다. 윤관철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당장 수출 부문의 실적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실적 하락은 제한적이고 중장기적으로는 구조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철강업계의 한 관계자도 ”국내서 현재 진행중인 구조조정 작업에 전세계적인 합병 이슈와 통상마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의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앞서 미 상무부는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이 수출하는 열연강판에 대한 반덤핑ㆍ상계 관세율을 최종 판정해 포스코에 60.93%, 현대제철에 13.38%의 관세율을 부과했다. 특히 미국은 한국 철강업체가 값싼 산업용 전기료 등 불공평한 정부 보조금 때문에 혜택을 입었다고 보고 상계 관세를 매겼다.

이에 포스코는 즉각 WTO(세계무역기구)에 제소할 뜻을 밝혔다. 포스코 측은 “WTO 제소 등 법적 절차를 밟으면서, 수출 지역을 타국으로 다변화하고 우리만 팔 수 있는 고부가가치 제품을 파는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