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이정현號 출범]‘친박’을 넘어서라…당청, 여야관계 개선도 ‘과제’
[헤럴드경제=이형석ㆍ유은수 기자] 9일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신임당대표로 선출된 이정현 의원의 최대 과제로는 당내 ‘계파청산’이 꼽힌다. 경선 막판에 불거진 ‘오더정치’ 논란에서 보듯 당내에는 이번 전대에서도 친박계와 비박계 사이의 계파갈등은 전면전 양상으로 치달았다. 비박계에서는 친박 핵심 세력에서 이정현 후보 지지를 후배 의원들에게 ‘지시’하는 ‘오더정치’를 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비박계는 친박패권주의를 비판하며 김용태ㆍ정병국ㆍ주호영 의원간의 후보단일화를 해 맞섰다.

일단 이 의원이 최경환ㆍ서청원 의원 등 친박 핵심이나 친박 좌장으로 꼽히는 인사들과 어느 정도 ‘거리두기’가 필요하다는 얘기도 나온다. 총선 이후 비박계가 총선 참패 친박 책임론을 거세게 들고 나온 마당에 신임당대표로서 이 의원이 친박 핵심 인사들을 당내 요직에 중용하거나 친박계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관철시키는 것은 비박계의 반발을 더욱 불러오리라는 우려다.

이 의원이 천명한대로 계파를 막론하고 인사정책을 펴는 ‘탕평책’이 어느 정도 실현될 것인가가 계파청산이라는 당면 과제에 관건이라는 얘기다. 

9일 새누리당 대표에 선출된 이정현 의원. 안훈 기자/rosedale@heraldcorp.com

당청관계에 있어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이라는 이미지도 벗어야 한다. 신임 당대표로서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권재창출을 위해미래 권력을 다져야 하는 임무가 지워져 있기 때문이다. 대선 정국에서는 현재권력과 미래권력 사이의 균형을 이루지 않으면 심각한 갈등 상황을 맞을 수 있다.

이 의원은 전당대회 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여당의 시각으로 민생을 대하니 자꾸만 “그것이 아니라 이것입니다”라는 대답을 하게 되는데, 야당처럼 “아 그렇습니까”하면서 경청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여당으로서 청와대와 정부에는 야당의 역할, 견제의 기능도 해야 한다는 것이 이 의원의 생각이다. 하지만 “여당이 대통령 하는 일을 못하게 발목잡고, 흔들어놓으면 뭘 어떻게 하겠느냐”고도 했다.

“나같은 사람을 발탁해준 박 대통령에게 무한감사한다”는 인간적인 도리가 수평적인 당청관계를 흐트려뜨려선 안된다는 조언이 나오는 이유다.

여소야대 국회에서 정진석 원내대표와 함께 여당다운 의제 설정과 야당과의 협치를 이끌어야 하는 것도 과제다. 국회 원구성 이후 여야가 공히 ‘협치’를 다짐했지만, 최근들어 각종 현안에 대립이 심화되고 있다. 노동개혁, 서비스산업발전법, 추경안 통과 등의 여당 의제에 맞서 야3당은 사드 대책,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 서별관회의청문회, 세월호국조위 활동 연장 등의 현안으로 맞서고 있다. 이 의원은 전당대회 마지막 연설에서 “민생과 안보에 야당과 초당적 ‘협치’를 이루겠다”고 약속했다. 향후 두고 볼 일이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