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4000만원짜리 소방용 드론, 출동 실적은 ‘전무’…“그래도 12억원어치 더 산다”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일선 소방서가 화재 및 인명 수색ㆍ구조 업무를 위해 구입한 고가의 소방용 드론이 사실상 ‘무용지물’ 상태로 먼지만 쌓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홍철호 새누리당 의원은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소방용 드론 도입에 쓰인 1억원 이상의 혈세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3일 지적했다.

홍 의원에 따르면 소방용 드론은 6월 말 기준 전국 소방서 6곳에 총 9대가 배치돼 있다. 지역별로는 전북에 가장 많은 소방용 드론이 배치돼(3대) 있었고, 서울(2대)과 울산(2대, 소방서 2곳에서 각 1대씩 보유), 부산(1대), 강원(1대)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소방용 드론의 가격은 최소 300만원에서 4000만원에 이른다. 그러나 장비 활용도는 ‘전무’에 가까웠다.

우선 부산은 지난해 9월 4000만원을 들여 소방용 드론을 구입했지만, 월평균 430여건의 화재 및 인명 수색ㆍ구조 출동을 하면서도10개월 동안 단 한 번도 소방용 드론을 사용하지 않았다.

울산ㆍ강원 역시 월평균 50~70여건의 화재 및 인명 수색ㆍ구조 요청이 발생했지만, 소방용 드론이 쓰인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다만, 서울은 소방용 드론이 배치된 후 총 1만0665건의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소방용 드론을 8회 출격(월평균 0.7회)시켰다.

전북 역시 지난 2월에 드론을 배치한 후 총 600여회의 사건ㆍ사고가 발생했지만 실제로 드론이 쓰인 것은 3차례(월평균 0.6회)에 불과했다.

문제는 각 지자체가 올해도 소방용 드론 도입 예산을 12억1800여만원이나 편성했다는 점이다.

서울시는 소방용 드론 도입에 11억9900만원의 예산을 편성했고, 충남ㆍ경남ㆍ경북은 각각 500~900만원의 예산을 마련했다.

특히 서울시는 해당 예산으로 소방용 드론 7대를 1차 개발했지만, 아직 실전 배치해서 사용하고 있지는 않았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소방용 드론의 활용도가 저조한 이유에 대해 ”비행 가능시간이 18~25분에 불과한 점, 고온의 화염 환경에 견딜 수 없는 현 장비의 한계점, 드론 조작요원이 부족한 점” 등을 꼽았다.

홍 의원은 “쓰지도 않는 소방용 드론을 ‘보여주기식’으로 재도입하는 것은 큰 문제”라며 “드론 산업을 안전분야에 접목시켜 산이나 화재현장을 자유롭게 수색하고 야간까지 원활히 정찰할 수 있을 정도로 장비 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홍 의원은 “국민안전을 위한 R&D 투자 확대와 첨단장비를 실전 배치화 시키는 로드맵 마련, 소방용 드론 전문가 육성을 포함한 담당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