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좋은 직장의 조건 1순위 ‘야근 없는 회사’
[헤럴드경제=정진영 기자] 직장인과 대학생들은 좋은 직장의 1순위 조건으로 ‘근무시간 보장’을 꼽았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지난 7월 27일부터 29일까지 직장인과 대학생 1057명을 대상으로 ‘좋은 직장의 조건’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근무시간 보장(28.4%)’을 가장 많이 꼽았고 뒤 이어 ‘높은 성장 가능성(26.1%)’, ‘우수한 복지제도(25.4%)’, ‘하고 싶은 업무(25.4%)’ 등이 뒤를 이었다.

좋은 직장의 조건은 조사 대상 별로 차이를 보였다. 직장인들은 ‘근무시간 보장(29.0%)’을 가장 많이 선택했고 ‘높은 성장 가능성(26.3%)’, ‘우수한 복지제도(25.2%)’, ‘높은 연봉(24.0%)’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대학생들은 ‘하고 싶은 업무(30.4%)’를 좋은 회사의 조건 1순위로 택했고 뒤 이어 ‘근무시간 보장(27.4%)’, ‘우수한 복지제도(25.8%)’, ‘높은 성장 가능성(25.8%)’, ‘높은 연봉(16.9%)’ 등의 순이었다.


직장인과 대학생이 생각하는 좋은 직장의 조건은 서로 달랐지만, 회사 선택 시에는 모두 ‘연봉 수준’을 가장 먼저 확인하고 있었다. 조사 결과 ‘직장 선택에서 가장 먼저 확인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직장인과 대학생 모두 ‘연봉 수준(직장인 35.7%, 대학생 28.6%)’을 가장 많이 들었다. 직장인들은 ‘연봉 수준’과 함께 직장인들은 ‘복지 제도(14.9%)’, ‘근무 시간(14.8%)’, ‘고용 안정성(12.4%)’을 확인한다는 답변의 비율이 높았다. 대학생들은 ‘회사 규모 및 인지도(15.7%)’, ‘근무 시간(15.0%)’ 등을 확인한다는 답변이 상위권을 기록했다.

직장인 10명중 7명(69.8%)은 현재 근무하는 회사가 좋은 직장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 직장인들은 ‘복지제도가 미흡해서(40.0%)’를 가장 많이 지적했고, 이밖에도 ‘업무체계가 복잡하고 동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지 않아서(31.1%)’, ‘연봉이 만족스럽지 못해서(30.9%)’ 등의 응답이 있었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