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민화의 위기진단-교육분야)“기업가적 도전 가능한 교육체계, 산학연 협력해야”
‘혁신 안전망’ 구축 실패자 재도전 기회 줘야 공시족 사라져



이민화 교수는 ‘창조성 교육체계’ 도입과 ‘기업가정신 교육’이 청년들의 국가관을 바꾸고 도전적인 정신을 함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추격경제 시대의 정답위주 교육은 4차 산업혁명의 최대의 저해요소이며, 선도경제 시대의 창조성과 협력성 교육은 프로젝트 중심 교육으로 가능하다고 밝혔다.

미지의 세계에 도전하는 기업가정신 교육이 전 교육체계의 중심이 돼야 하나 2018년 기업가정신교육 의무화를 앞두고 인식이 너무나 미진하다는 진단도 내렸다. 유럽 각국은 이미 2006년 오슬로아젠다를 통해 초등학교부터 기업가정신 교육 의무화를 권장하고 있다.

스펙형 인재에서 ‘도전형 인재’를 길러내는 일대 교육혁명은 현재의 교육부 체제로는 불가능하며, 산학연이 협력하는 독일식 교육체제의 도입을 지방교육청의 자율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이 교수는 “청년들이 돈이 아니라 꿈을 갖는 국가가 발전한다. 꿈을 위해 국가의 정체성과 자부심이 중요하며, 역사적 정체성 확립이 중요 과제”라며 “고대사와 현대사는 사실에 입각해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개방 역사관의 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리 청년들의 50% 이상이 공무원시험에 몰리는 이유는 왜곡된 보상체계 때문이라는 지적도 했다. 미국의 일류대학 출신들의 첫번째 선택이 창업인 이유는 실패해도 재도전이 가능한 혁신의 안전망이 존재하기 때문. 국내에서는 혁신의 안전망이 취약한 탓에 공무원, 교사 등 지나치게 안전한 직업에 사람이 몰린다고.

그는 “혁신에 비례하는 보상체계가 구축되면 기업가적 혁신국가가 이룩되고 이를 통한 조세 수입이 복지의 재원이 돼 인력 양성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사회 전반에 혁신에 비례하는 보상체계와 혁신의 안전망이 구축되면 한국의 청년들은 도전할 것이고, 4차 산업혁명의 승자로 가는 길이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